개장 60주년 인터뷰…"거래소 상장차익, 국제화·스타트업 육성에 사용"

"지나온 60년 동안 한국 경제 개발의 협력 파트너로서의 자본시장으로 역할을 했다면 앞으로의 60년은 아시아의 중심 자본시장으로 성장해 나아가야 합니다."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28일 여의도 사옥에서 다음 달 3일 거래소 출범 60주년을 앞두고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자본시장의 발전 정도는 그 나라의 경제 발전 성숙도와 연결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거래소는 지난 1956년 3월3일 대한증권거래소라는 간판을 걸고 문을 열었다.

당시 12곳에 불과하던 상장기업은 현재 유가증권시장 770개사, 코스닥 1천157개사 등 모두 1천927개사로 늘어났다.

최 이사장은 "우리 증시는 국민의 재산 증식 수단을 제공하며 하루 평균 60조원의 금융투자상품이 거래되는 자산운용의 장으로 성장했다"며 "증권·파생상품시장이 균형 있게 발전한 선진 투자 환경은 신흥국의 벤치마크 대상이 됐고 동남아 등 수출을 통해 금융영토를 확장하고 있다"고 60년 역사를 평가했다.

향후 60년의 목표는 '글로벌 톱(Top) 7 거래소'가 되는 것이다.

시총 규모가 비슷한 호주 거래소를 비롯해 홍콩과 싱가포르 거래소 등을 모델로 한 단계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최 이사장은 "지금 전 세계는 하나의 시장을 향해 서로 주고받고, 경쟁하는 체제"라며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우리 거래소도 시장 관리·운영을 넘어 새로운 서비스와 상품을 개발하는 등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직 개편에서 유가증권시장본부 산하에 글로벌마케팅팀 등이 포함된 증권시장마케팅부를 신설하고 파생상품시장본부를 재편해 글로벌파생상품시장부를 만드는 등 시장별로 글로벌 사업에 역점을 둔 것도 이를 위한 포석이다.

최 이사장은 "지금의 상태로는 아시아의 변방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며 "거래소의 지주회사 전환 체제와 기업공개(IPO)는 시대적 흐름"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애초 거래소는 올해 하반기 거래소의 지주사 전환을 마무리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IPO를 완료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전제 조건인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하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본사 소재지 규정을 놓고 접점을 찾지 못해 국회 정무위원회 문턱조차 넘지 못했다.

거래소는 이제 4·13 총선 이후 19대 국회 마지막 임시회에서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통과될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

최 이사장은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19대 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앞서 임종룡 금융위원장도 지난 24일 부산을 찾아 "거래소 본사를 부산에 둔다는 정부 입장은 분명하고도 확고하다"며 "자본시장법의 국회 통과를 부산의 힘으로 관철해 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최 이사장은 자본시장 60주년을 맞아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을 육성하는 데도 중점을 둘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과거 60년 동안 자본시장의 규모를 키우기는 했지만, 대기업의 발전이 정체된 상태에서 대기업 위주로는 한계가 있다"며 "중소 벤처기업을 키워 산업의 중심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역설했다.

스타트업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위해 '크라우드펀딩→사적시장(Private Market)→코넥스→코스닥'으로 이어지는 '종합적인 상장 사다리 체계'를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그는 "변혁기에 놓인 우리 산업이 생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육성하는 것이 거래소에 주어진 소명"이라며 "벤처기업 중심으로 코넥스와 코스닥 시장을 육성하고 기업들이 자금 조달에 애로가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이사장은 "앞으로 거래소의 IPO가 이뤄지면 조달 자금을 국제 경쟁력 강화와 스타트업 육성에 쓸 생각"이라며 "외부 용역을 통해 향후 청사진을 만들어 어떤 업무 영역을 키울지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성서호 기자 hanajjang@yna.co.kr, so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