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헬스케어주, 투자심리 가장 먼저 악화…내 종목 반대매매없이 투자자금 4배까지 운영하는 방법?
입력2016.02.15 09:11
수정2016.02.15 09:11
증시 전문가들은 코스닥이 ‘닮은 꼴’인 미국 나스닥지수 흐름에 동조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나스닥시장이 주가 부담이 컸던 바이오·제약주 중심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그동안 주가가 큰 폭으로 올랐던 바이오주가 급락하자 코스닥지수가 조정받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코스닥시장의 급락은 나스닥시장의 흐름과 궤를 같이 한다. 올 들어 코스닥지수가 10% 넘게 하락하는 동안 나스닥지수는 15% 가까이 내렸다.
증시 전문가들은 코스닥시장과 나스닥시장 모두 바이오·헬스케어주 중심으로 급락하고 있다고 말한다. 바이오 및 헬스케어주의 밸류에이션(기업 가치 대비 주가 수준)이 워낙 높았던 만큼, 이들 주식에 대한 투자심리가 가장 먼저 악화됐다는 얘기다.
CAP스탁론에서는 연 2.6%의 최저금리로 연계신용대출을 통하여 거래할 수 있다. 또한 증시가 하락하면서 증권사 신용대출 반대매매가 임박한 고객의 경우 해당 주식을 팔지 않고 연 2.6% 저금리로 대환상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고 한다.
해당 종목에 대해 한종목 100% 집중투자, ETF 거래가 가능하며, 마이너스 통장식으로 타사보다 좀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CAP스탁론은 키움증권, 하나금융투자, NH투자증권, 유안타증권 (구 동양증권), 대우증권, KB투자증권, 현대증권, 유진증권, LIG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SK투자증권 등 국내 메이저 증권사에서 이용할 수 있다.
CAP스탁론의 상품관련 문의사항은 ☎ 1644-1896 로 전화하면 상담원을 통하여 자세히 확인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러미 시걸 와튼 경영대학원 교수는 16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이르렀다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큰 경기침체를 일으키지 않고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이른바 ‘연착륙’을 달성할 수 있는 길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Fed가 지금부터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면 경제와 주식시장 모두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월가 "아시아 국가들 과도한 금리인상 불필요"모건스탠리가 아시아 지역의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달했다고 진단했다. 체탄 아야 모건스탠리 아시아 담당 애널리스트는 “아시아의 평균 인플레이션율은 5.5%로 정점을 찍었다”며 “이는 9%로 정점을 찍은 미국, 8.5~9% 수준인 유럽과 비교된다”고 말했다. 이어 “대부분 아시아 국가들의 인플레이션은 통제될 것”이라며 “중앙은행들이 정책금리를 과도하게 올릴 필요가 없다”고 했다.
코로나19 위기에 고속 성장한 혁신 플랫폼 기업들이 속속 구조조정 코너에 몰리고 있다. 경기가 갑자기 얼어붙자 성장이 주춤한 플랫폼 기업 중심으로 ‘돈맥경화’ 현상이 심화하면서다. 적자가 늘고 돈줄이 말라 일부 창업자는 경영권까지 내놔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플랫폼 기업들의 생존을 위한 구조조정시장이 열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1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수천억원에서 많게는 수조원 가치로 평가받던 혁신 플랫폼 기업들이 줄줄이 인수합병(M&A) 시장에 나왔다. 1세대 e커머스(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티켓몬스터(티몬),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업 왓챠, 배달대행 플랫폼 부릉 운영사인 메쉬코리아 등이 대표적이다. 자발적인 경영권 매각이 아니라 ‘반강제적인 M&A’가 진행 중이라는 게 공통점이다.11번가, 브랜디, 컬리(마켓컬리), 오아시스, 발란, 리디(리디북스) 등 e커머스 및 콘텐츠 분야의 플랫폼 기업들은 기업공개(IPO)나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들 기업 중 상당수가 IPO나 투자 유치에 실패해 경영권 매각 시장에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쏘카, 컬리 등은 ‘몸값’이 반토막 밑으로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IPO를 진행하고 있다. 상장을 통한 자금 조달이 그만큼 시급하다는 방증이다.작년까지만 해도 플랫폼 기업들은 정부의 모험자본 육성 정책과 함께 투자금이 밀물처럼 몰려들었다. 올 들어 글로벌 경기가 침체하고 유동성이 급감하면서 분위기가 싹 바뀌었다. 상당수 플랫폼 기업은 끌어모은 돈을 거의 소진했는데 추가 자금 유치가 어려워지자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1등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총액이 30조원을 돌파했다. 국내 ETF 1위 사업자인 삼성자산운용과의 시장점유율 격차는 2%포인트로 좁혀졌다. 지난해 초만 해도 미래에셋자산운용 점유율은 삼성자산운용의 절반에 불과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올해 안에 두 회사 간 순위가 역전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미래, 점유율 40% ‘눈앞’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기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ETF 순자산총액은 30조481억원이었다. 이 회사가 ETF 시장에 뛰어든 2006년 이후 ETF 순자산이 30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미래에셋자산운용의 ETF 시장 점유율은 38.72%다. 삼성자산운용(40.95%)에 이은 2위다. 삼성자산운용의 ETF 순자산총액은 31조7789억원이다.지난해 말 기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ETF 순자산은 26조2368억원, 삼성자산운용은 31조4147억원이었다. 올 들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순자산이 3조8113억원 증가하는 동안 삼성자산운용은 3642억원 느는 데 그쳤다. 증가액이 10배 넘게 차이난다.지난해 초 삼성자산운용의 ETF 시장 점유율은 51.55%였다. 당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점유율은 25.73%로 삼성자산운용의 절반 정도였다. 현재는 두 회사 간 점유율 격차가 2.23%포인트까지 좁혀졌다.전체 ETF 중 비중이 가장 큰 주식형 ETF 부문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순자산이 이미 삼성자산운용을 넘어섰다. 지난 3월 중순 처음 역전을 허용했다. 지난 12일 기준 주식형 ETF 순자산은 미래에셋자산운용 18조1459억원, 삼성자산운용 16조4001억원이었다. 채권형과 파생형의 경우 삼성자산운용의 순자산이 각각 4조6282억원, 10조6454억원으로 미래에셋자산운용(2조2737억원, 8조8545억원)보다 많다.○삼성, 1위 수성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