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파생상품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에 대한 운용규제를 대폭 풀기로 했다. 다양한 ‘중위험·중수익’ 펀드 상품이 나오도록 길을 터 주가연계증권(ELS)으로 쏠렸던 자금 중 일부가 펀드로 흘러가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올해 상반기 중 파생형 펀드의 ‘파생상품 위험평가액 산정방법’을 손질할 예정이다. 펀드의 위험관리 규제를 유럽 등 선진국 수준으로 완화해 운용의 자율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파생형 펀드는 전체 자산의 10% 이상을 선물 옵션 스와프 등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펀드다. 주식이나 채권 펀드와 달리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펀드는 손실을 입을 수 있는 최대금액인 ‘최대손실가능금액(위험평가액)’이 자산총액의 100%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지난 1일 기준 공모 파생형 펀드 설정액은 16조원으로 전체 공모펀드 239조원의 6.6%에 불과하다.

금융위는 파생상품의 하나인 옵션의 위험평가액 산정 방식을 글로벌 기준에 맞게 바꿀 계획이다. 미국 등은 펀드가 옵션에 투자하면 시장 위험을 별도로 계산해 위험평가액에 반영하는 데 비해 한국에선 거래금액 전체를 위험평가액으로 넣는다.

헤지(위험회피) 자산을 인정하는 기준도 완화하기로 했다. 헤지자산은 기존 투자 위험을 분산하기 때문에 위험평가액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헤지자산으로 인정받는 기준이 까다로워 오히려 위험자산으로 계산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게 운용사들의 설명이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