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원유를 기초 자산으로 한 파생결합증권(DLS)에서 1000억원대 손실이 난 것으로 드러났다.

원유 DLS는 투자 기간 동안 기준이 되는 국제 유가가 일정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미리 약속한 이자를 주는 상품이다. 그러나 만기가 도래했을 때 국제 유가가 가입 당시의 40∼60% 이하로 내려가면 이론상 원금을 모두 잃을 수 있는 구조다.

29일 신학용 무소속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원유 DLS 발행 및 상환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증권사의 원유 DLS 손실액은 1117억원으로, 평균 13.5%의 손실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만기를 맞은 원유 DLS는 발행액을 기준으로 8257억원이었고, 이중 실제 투자자들이 돌려받은 돈은 7140억원이었다.

가장 손실 규모가 큰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이었다.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946억원어치의 만기가 돌아왔지만 상환액은 412억원에 그쳤다. 손실률은 56.5%를 기록했다.

유안타증권의 손실률은 23.8%로 그 뒤를 이었다. 대신증권(17.1%), 신한금융투자(14.4%), 현대증권(10.2%), KDB대우증권(7.4%)도 성적이 저조했다.

반면 하이투자증권은 2.3%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수익을 내는데 성공했다. 삼성증권, 하나금융투자, 한화투자증권도 각각 1.6%, 1.0%, 0.7%의 수익률을 올렸다.

지난해 원유 DLS 발행액 규모가 가장 큰 곳은 대우증권이었다. 대우증권의 발행액은 2988억원을 기록했다. 이어 NH투자증권(1862억원), 대신증권(1215억원), 현대증권(849억원), 신한금융투자(774억원), SK증권(521억원), 하나금융투자(514억원) 순이었다.

신 의원은 "지난해 발행된 원유 DLS 가운데 올해 만기인 DLS가 상당수"라며 "저유가와 맞물려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주가연계증권(ELS), DLS 등 파생결합증권의 대량 원금 손실 사태가 제2의 키코 사태로 번질 수 있다"며 "금융 당국이 파생 상품 대중화 이면에 문제점이 없는지 철저히 점검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근희 한경닷컴 기자 tkfcka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