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12월7일 오후 4시18분

금융감독원이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가 예정된 상장사 주식에 대해 미리 공매도를 한 일부 증권사를 상대로 검사에 착수했다. 기관들이 관행적으로 해온 블록딜 전 공매도에 대해 당국이 조사에 나선 것은 처음이다. ‘위장 블록딜’ 등 각종 불법 블록딜 거래 의혹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계획이다.
 [단독] [마켓인사이트] 금감원, 이번엔 '블록딜 전 공매도' 집중 조사
헤지거래인가, 미공개 정보 활용인가

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금감원 자본시장 조사국은 한 반도체 장비 제조분야 상장사의 블록딜 물량을 인수하기 전 미리 공매도한 증권사 4~5곳에 대해 위법행위가 있었는지를 검사하고 있다. 이 반도체 장비업체 대주주는 올해 초 자신이 보유한 지분 40만주를 주당 1만5000원대에 블록딜로 처분했다.

당시 이 회사는 A증권사를 통해 블록딜 주문을 냈으며 다른 증권사 5곳에서 해당 물량을 나눠 받아갔다. 장 마감 전 블록딜 정보를 알게 된 이들 증권사는 주가 하락 우려에 대비해 각각 수만주~수십만주 규모의 주식을 빌려 미리 공매도 주문을 냈다. 총 공매도 규모는 십억원대였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대주주가 블록딜을 하면 다음날 주가가 떨어지는 일이 많기 때문에 리스크 헤지 차원에서 주식을 빌려 공매도하는 것은 종종 있는 일”이라며 “대가성이 없는 관행적 거래에 대해 들여다보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금감원은 이 같은 거래가 미공개 정보 이용이나 주가 조작에 해당할 가능성을 점검하고 있다. 특히 대주주 블록딜은 주가 하락의 재료가 되기 때문에 이를 미리 알고 거래하는 것은 사전 정보 취득에 해당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매수하려는 기관이 해당 주식을 싸게 사기 위해 고의적으로 공매도를 벌여 종가를 떨어뜨리는 등 주가 조작의 소지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번 반도체 장비업체 거래는 블록딜 계획이 완전히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관들이 공매도를 한 데다 이로 인한 종가 변동이 크지 않아서 면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블록딜 전 공매도 자체에 문제점이 있다고 최종 판단하면 업계에 파장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위장·파킹 블록딜 의혹도

금감원은 최근 ‘위장 블록딜’ 의혹을 받은 상장사 이오테크닉스의 거래에 대해서도 ‘파킹 거래’ 가능성이 있다는 제보를 접수해 조사를 검토 중이다.

싱가포르 기관투자가는 이오테크닉스 지분 4.9%(60만여주·630억원 상당)를 지난 3일 장 마감 이후 블록딜하기로 하고 수요 예측에 나섰다가 돌연 철회했다. 주관을 맡았던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싱가포르 기관의 의사에 따라 거래를 진행했으나 막판에 실제 지분 보유 여부가 확인되지 않아 거래를 철회했다”고 설명했다.

이오테크닉스의 경우 지난달 말부터 서너 차례에 걸쳐 출처가 불분명한 60만주를 블록딜로 팔겠다는 제안이 일부 기관에 돌았으나 철회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대주주 지분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싱가포르 기관투자가 보유물량으로 바뀌는 등 시장에 혼란이 초래됐다. 또 한 차례 수요를 초과했음에도 돌연 딜을 취소해 논란을 부추겼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당국은 회사 대주주 보유 물량을 싱가포르 기관에 잠시 떠맡긴 뒤 국내 시장에 다시 블록딜로 내다 파는 ‘파킹 거래’였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 블록딜

block deal. 주식을 대량으로 보유한 매도자가 사전에 자신이 매도할 물량을 인수할 매수자를 구해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이 끝난 이후나 장 시작 전 지분을 넘기는 거래. 장중 주가 급락은 피할 수 있으나 다음날 주가가 하락할 확률이 높다.

서기열/정소람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