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증권가는 국내증시가 보합권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증시전문가들은 미국 금리인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용보고서 발표가 내일 있다는 점에서 관망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진단했다.
5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개별기업이슈와 혼재된 지표 영향 속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6.52포인트(0.31%) 상승한 2099.84를 기록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34.4포인트(0.67%) 오른 5139.94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10.22포인트(0.06%) 하락한 1만7540.47로 마감했다.
코스피가 200일선의 지지력을 다시 한 번 확인한데 이어 전일 이틀 연속 강세를 이어갔지만, 중국 경기 부진, 미국의 금리인상 이슈, 원자재 가격 약세, 부진한 2분기 어닝시즌 등 산적해 있는 대내외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당분간 톱다운(Top-Down)보다는 보텀업(Bottom-Up) 측면의 모멘텀 플레이가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판단이다. 최근 성장주 약진의 주역으로 주목받고 있는 미국의 아마존과 이와 관련된 전자결제 이슈도 관련해서 관심을 가져볼만하다.
스탁론이란 본인자금 이상으로 주식매입을 하고자 할 때 자기자본을 포함하여 최대 300%까지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대출서비스를 말합니다. 스탁론으로 매수한 종목의 주가가 상승할 경우 레버리지 효과로 몇 배의 수익을 내는 것이 가능해 일반 투자자들보다 수익률이 월등히 높다. 또한 증권사 미수/신용을 스탁론으로 상환할 수 있어 추가 담보나 종목 매도 없이 간단히 갈아탄 후 반등 시기를 기다릴 수 있어 스탁론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IBK투자증권은 29일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서정학 전 IBK저축은행 대표(61·사진)를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 서 대표는 경성고와 동국대 영문학과를 졸업한 뒤 1989년 기업은행에 입사했다. IB지원부장, 기술금융부장, IT그룹장, 글로벌·자금시장그룹장, CIB그룹장 등을 거쳐 2021년부터 IBK저축은행 대표를 지냈다. 배태웅 기자
▶마켓인사이트 3월 29일 오후 3시17분시스템 반도체 상장기업 DB하이텍이 행동주의 펀드의 타깃으로 거론되고 있다. 기관투자가들이 나흘 동안 2200억원어치 넘게 사들이면서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기관 중에서도 사모펀드와 기타법인의 순매수 금액이 1300억원을 넘는다. 시장에선 주주 행동주의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보고 있다. ‘강성부 펀드’로 알려진 KCGI가 나섰다는 얘기도 나온다.DB하이텍은 29일 2.28% 오른 6만2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24일 19.41% 급등한 데 이어 나흘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주가는 나흘 동안 32.48% 뛰었다.주가를 끌어올린 것은 기관 매수세다. 나흘간 기관은 2240억원어치 DB하이텍 주식을 쓸어 담았다. 특히 기관 중 사모펀드 및 기타법인에서 1316억원어치 순매수했다.시장에선 행동주의 펀드가 DB하이텍을 조준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DB하이텍은 작년 별도 기준 매출 1조6752억원, 영업이익 7685억원을 거뒀지만 시장에서 저평가돼 왔다. 게다가 DB하이텍의 지배구조도 취약하다. 최대주주인 DB의 지분율이 12.42%에 불과하다.DB그룹의 지주사 전환 가능성은 행동주의 펀드가 공격할 수 있는 지점이다. 소액주주들은 DB그룹이 지주사 전환 요건을 피하기 위해 DB하이텍 주가를 억눌러왔다고 주장했다. 대표적인 게 이날 주주총회에서 통과된 DB팹리스 물적 분할 건이다.공정거래법상 자산총액이 5000억원 이상이고 자회사의 주식가액 합계액이 자산총액의 50% 이상이면 지주사로 강제 전환해야 한다. 모회사 DB의 자산 대부분이 핵심 자회사인 DB하이텍의 지분 가치다. DB하이텍 주가가 연말 기준 7만원대를 기록한 2021년엔 지주사 요건에 해당됐지만 작년 말 기준으로는 벗어났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올해 공매도를 전면 재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증시가 안정되면 수개월 내에 재개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이 원장은 29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인플레이션과 급격한 금리 상승으로 코스피지수 2000선이 붕괴됐는데, 이 같은 상황에선 공매도를 전면 재개하기 어려웠다”며 “몇 달 안에 금융시장 혼란이 완화될 경우 공매도 규제를 정상화할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안에 규제를 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이 원장은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불거진 은행 위기가 국내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냐는 질문엔 “매우 희박하다”고 단언했다. 그는 “국내 은행은 전체 자산에서 증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고 대부분 단기물을 보유하고 있어 유동성 위기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며 “한국 신종자본증권은 유럽의 AT1(기타 기본자본) 채권과 다른 구조를 갖고 있어 투자자들이 우려하는 것처럼 상각되는 사태도 일어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올해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위기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위험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다. 이 원장은 “지난해 레고랜드와 흥국생명 사태를 겪으면서 5000개 이상의 사업장을 전수조사했다”며 “그중 일부에선 문제가 생기겠지만 일시에 파산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이어 “지난해 레고랜드와 흥국생명 사태로 자금시장에 문제가 불거졌지만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등과 협력해 시장 안정화에 성공했다”며 “이를 통해 어느 정도 면역이 생겼다”고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다.이 원장은 최근 몬테네그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