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자동 재정지출 삭감 조치인 시퀘스터(Sequester) 발동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증시전문가들은 28일 미국 정치권이 시퀘스터로 인한 부정적 여파를 피하기 위해 연장이나 일부 합의에 막판 합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오는 3월1일로 예정된 시퀘스터는 2022년까지 총 1조2000억달러의 재정을 감축하는 조치다.

미국 정치권은 2011년 8월에 부채한도 2조1000억달러 증액에 합의하면서 2011년 11월까지 별도 합의가 없을 경우 2013년부터 10년 동안 1조2000억달러의 재정지출을 줄이기로 했었다.

그러나 지난해 연말 가까스로 재정절벽협상이 타결되면서, 자동지출 삭감은 2개월 유예시켜 놓았고, 별도 합의가 없을 경우 당장 오는 3월부터 지출 삭감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유익선 우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런 재정감축으로 공공부문 일자리 축소로 직결되는 동시에 미국 경제 전반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시퀘스터 시행이 초읽기에 들어갔지만 현재까지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의 협상은 입장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난항을 겪고 있다.

민주당은 국방 부문의 지출을 감축하되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등 사회보장비 지출을 유지하는 대신 증세를 통해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자는 입장이다. 반면 공화당은 국방 부문 대신 사회보장 지출을 감축하고 부자 증세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미국 재정절벽 우려로 글로벌 증시가 흔들렸던 것처럼 시퀘스터 시행에 따른 미국발 리스크가 다시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시퀘스터가 예정대로 3월1일에 전격적으로 시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박상규 BS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시퀘스터 전격적 시행이 경기 모멘텀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로부터 나타날 국민적 비판에 양당 모두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지난 1월 재정절벽과 관련 스몰딜 경우와 같이 일단 연기한 후 협의 과정을 가져갈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지난 19일 시퀘스터 시행 시점의 연기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게다가 지난 1월1일에도 미국 정치권이 재정절벽 밤샘 협상을 통해 극적인 스몰딜 합의에 성공했음을 감안하면 이번에도 제2의 스몰딜이 성사될 가능성도 있다.

지난 27일 백악관이 시퀘스터가 발동되는 첫날인 3월1일 상하원 지도부와 회동할 것임을 밝히면서 타협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모습이다.

이상재 현대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번 회동에서 극적인 돌파구가 마련된다면, 연초 조세협상과 마찬가지로 일단 발동은 되지만 소급 적용으로 이를 해소할 것"이라며 "최소한 미 정치권이 시퀘스터 발동을 재차 몇 개월 연장하는 봉합책 정도는 합의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는 "2013년 그랜드 유동성 장세라는 중장기 관점 하에 점차 신중론에서 벗어나 위험자산 비중 확대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당장 내달 1일부터 시퀘스터가 발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전망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선엽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시퀘스터는 예고된 악재로 최근 지수 조정을 통해 악재의 영향력을 흡수하고 있는데다, 양적 완화의 지속으로 부정적 영향을 제한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임노중 아이엠투자증권 애널리스트도 "시퀘스터가 원안대로 시행되더라도 미국경제회복 기조를 훼손할 정도는 아니다"라며 "시퀘스터는 합의시한을 넘기더라도 추후 협상이 가능한 사안이인 만큼, 추후 협상의 여지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