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재정절벽 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한국 주식시장의 연초 랠리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재정절벽 협상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이란 기대가 현실화되면서 증시를 짓눌렀던 악재 하나가 거의 해소됐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움직임, 기업 실적 변화를 살펴보며 주식 비중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유동성효과, 중국 회복 ‘기대’

1월 주식시장을 낙관하게 하는 요소는 재정절벽 협상 타결에 따른 글로벌 유동성 효과 본격화와 중국 경기 회복 가시화 두 가지다.

재정절벽 협상 타결로 미국계 자금이 위험자산 투자 비중을 늘리며 작년 1월의 유동성 장세가 재연될 수 있다. 더욱이 지난해 12월 미국 중앙은행(Fed)은 월 자산 매입 규모를 850억달러로 늘리며 9월 발표한 3차 양적완화(QE3)의 내용을 더 강화했다. 미국 가계의 디레버리지(부채 줄이기) 현상이 완화되고 주택가격은 반등 국면에 접어들었다. 오승훈 대신증권 시장전략팀장은 “과거 QE의 경험을 감안하면 미국계 자금이 12월에 이어 계속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미국 경기 회복에 대한 이견이 사라지면 신흥국, 특히 중국 경제로 관심이 이동할 전망이다. 김형렬 교보증권 연구위원은 “산업생산을 비롯한 4분기 중국의 거시지표가 개선 조짐을 보였다”며 “이 기조가 유지될지 올 상반기 지표를 통해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 실적 부진 ‘우려’

1월 증시에선 기업 실적 부진 우려가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4분기 실적 발표 시즌을 앞두고 시장은 잔뜩 긴장하고 있다. 정보기술(IT)을 제외한 업종의 기업이익 전망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 팀장은 “지수가 추세적으로 상승하기 위해서는 경기민감주의 레벨업이 필요한데, 거꾸로 이익 전망은 하향 조정되고 있다”며 “이익이 줄면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부담이 좀 더 일찍 부각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미 조선과 화학주는 2009년 이후 주가수익비율(PER)의 상단에 근접하고 있다.

이영원 HMC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재정절벽 협상 타결과 위험자산 선호에 따른 유동성 유입에도 불구, 일본 엔화 약세로 업종별 편차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1월효과는 외국인이 좌우

연초 주가가 강세를 보일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1월효과’는 매년 현실화되진 못했다. 2001년부터 작년까지 12번의 1월 가운데 코스피지수 수익률이 올랐던 적은 8번이었다. 외국인이 2008년을 제외한 모든 기간 순매수를 보인 데 비해 기관은 4번 순매수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역으로 외국인 자금이 크게 유입되지 않으면 1월효과의 가능성이 그만큼 줄어든다는 논리로 연결된다.

김지원 미래에셋증권 연구위원은 “2009년 이후 외국인은 전기전자 운수장비 화학 금융과 같이 시가총액이 큰 업종 위주로 두드러진 매수세를 보였다”며 “이런 동향이 지속된다면 1월효과가 현실화될 때 시총 상위 종목의 움직임이 긍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렬 연구위원은 “기업 실적을 염두에 둔다면 올 1분기까지 증권사 컨센서스와 실제 실적의 오차가 작을 수 있는 업종 선택이 필요하다”며 “1월에는 IT 정유 음식료 운송·기계 업종이 투자 유망하다”고 전했다. 삼성전자 SK이노베이션 KT&G를 이런 점에서 추천했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