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ELS 13조1384억 발행…사상 최대 경신
올해 1분기 주가연계증권(ELS) 발행 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상품 출시와 시중금리보다 높은 수익률, 주가지수 횡보에 따른 ELS 원금손실 위험도 감소 등이 매력 포인트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예탁결제원은 올 1분기 ELS 발행금액은 직전 분기보다 72.8% 증가한 13조1384억원을 기록, 분기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중 사모 발행이 58.1%인 7조6371억원을 차지했고, 공모 발행은 5조5013억원(41.9%)으로 집계됐다.
원금 보전형태별로는 원금 비보전형이 ELS 발행의 75.6%(9조9353억원)로 주류를 이뤘다. 직전 분기보다 175.9% 성장했다. 반면 원금 전액 보전형의 경우 19.8% 감소한 3조1914억원(전체의 24.3%)이 발행되는데 그쳤다. 증시가 지난 1~2월 상승한 후 3월 횡보 장세를 나타내면서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원금 비보전 ELS에 투자자의 선호가 집중된 것으로 풀이된다.
기초자산별로는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가 전체 발행금액의 82.2%(10조8011억원)에 달했다. 개별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는 16.4%(2조1574억원)를 기록했다.
증권회사별 ELS 발행 규모는 대우증권이 점유율 15.0%(1조9743억원)로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에 우리투자증권(1조4824억원·11.3%)과 하나대투증권(1조3407억원·10.2%)이 뒤를 이었다.
1분기 주가 상승에 따라 조기상환 조건이 달성된 사례가 늘어나면서 ELS 상환액은 8조9791억원을 기록, 직전 분기보다 114.2% 늘었다. 상환 유형별로는 조기상환이 67.1%(6조267억원), 만기상환의 경우 29.1%(2조6133억원)로 나타났다.
한경닷컴 오정민 기자 blooming@hankyung.com
9일 한국예탁결제원은 올 1분기 ELS 발행금액은 직전 분기보다 72.8% 증가한 13조1384억원을 기록, 분기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중 사모 발행이 58.1%인 7조6371억원을 차지했고, 공모 발행은 5조5013억원(41.9%)으로 집계됐다.
원금 보전형태별로는 원금 비보전형이 ELS 발행의 75.6%(9조9353억원)로 주류를 이뤘다. 직전 분기보다 175.9% 성장했다. 반면 원금 전액 보전형의 경우 19.8% 감소한 3조1914억원(전체의 24.3%)이 발행되는데 그쳤다. 증시가 지난 1~2월 상승한 후 3월 횡보 장세를 나타내면서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원금 비보전 ELS에 투자자의 선호가 집중된 것으로 풀이된다.
기초자산별로는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가 전체 발행금액의 82.2%(10조8011억원)에 달했다. 개별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는 16.4%(2조1574억원)를 기록했다.
증권회사별 ELS 발행 규모는 대우증권이 점유율 15.0%(1조9743억원)로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에 우리투자증권(1조4824억원·11.3%)과 하나대투증권(1조3407억원·10.2%)이 뒤를 이었다.
1분기 주가 상승에 따라 조기상환 조건이 달성된 사례가 늘어나면서 ELS 상환액은 8조9791억원을 기록, 직전 분기보다 114.2% 늘었다. 상환 유형별로는 조기상환이 67.1%(6조267억원), 만기상환의 경우 29.1%(2조6133억원)로 나타났다.
한경닷컴 오정민 기자 blooming@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