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年 3.89%로 채권 발행…대출금 갚아 이자비용 절감
LG화학·웅진에너지도 시설투자비 低利로 조달
자사주 매입·M&A 활용도
LG화학·웅진에너지도 시설투자비 低利로 조달
자사주 매입·M&A 활용도
◆고금리 차입금 상환
낮은 시장금리는 채권시장을 통한 기업들의 자금 조달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회사채 순발행액은 2조9130억원으로 4개월 연속 늘어났다. 회사채 평균 발행금리가 지난 8월 초 유럽발 신용경색 우려로 연 4.46%(AA등급 3년물 기준)까지 상승했으나 지속적인 투자자금 유입에 힘입어 전날 연 3.98%까지 빠진 데 따른 영향이다.
경기 둔화에 대비하기 위한 현금 확보 수요도 저금리 기조와 맞물려 발행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차입 구조 개선·설비 투자에 활용
일부 기업들은 채권시장의 저리 자금을 차입 구조 장기화와 설비 투자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9일 연 3.76%로 3년 만기 채권 1500억원을 발행해 기업어음(CP) 상환에 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사채와 금리 차이가 거의 없는 만기 한 달짜리 CP를 한꺼번에 갚아 재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LG화학(543,000 0.00%)과 웅진에너지는 시설투자비를 저리로 조달했다. LG화학은 지난 5일 회사채시장에서 연 3.83% 수준에 돈을 빌려 대산공장 증설 투자에 쓰기로 했다. 웅진에너지는 웨이퍼 제조시설을 개선하고 원재료를 구입하기 위해 연 4.0%로 19일 1200억원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할 예정이다.
손쉬운 현금 조달은 인수·합병(M&A)이나 자사주 매입, 배당 등에 대한 부담을 낮추는 방식으로 주식시장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하반기 들어 5개월여 동안 상장사들이 자사주 매입에 쓴 금액은 9900억원으로 상반기 전체 6200억원의 1.5배를 넘어섰다.
◆우호적인 환경 지속 전망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회사채 발행금리의 기준이 되는 국고채 금리가 장기간 낮은 상태로 머물면서 우량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금리를 낮추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강성부 동양증권 채권분석팀장은 “보험과 연기금 자산의 빠른 성장으로 저금리가 고착화되고 채권 발행 만기도 길어지고 있다”며 “이 두 가지가 우리나라 채권시장의 ‘뉴노멀(새로운 기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연기금과 보험사의 채권 운용 자산이 매년 10% 이상씩 성장하면서 국고채와 회사채 공급량을 능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
■ 리파이낸싱
refinancing. 기존 채무를 갚기 위해 새로 차입금을 조달하는 것을 뜻한다. 기존의 채무를 변제하려는 목적뿐 아니라 이자 부담을 줄이려는 의도로도 활용된다. 최근에는 주로 자금 조달 비용을 감축하려는 목적이 많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