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이 통화 가치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통화전쟁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지금처럼 세계 각국이 자국의 통화 가치를 낮추려고 서로 경쟁한다면 세계 경제 회복에 큰 위협 요인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그러나 국가 간 이해관계가 워낙 첨예해 '휴전'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5일 "각국 정부가 환율을 이용해 국내 경제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면 통화전쟁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의 발언은 일본이 기준금리를 제로 금리 수준으로 내리고 자금 공급도 늘리겠다는 결정을 내린 지 하루 만에 나온 것이다. 칸 총재는 "이런 생각은 통화를 정책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는 계산에서 나온 것"이라며 "이런 생각이 행동으로 옮겨지면 글로벌 경제 회복에 큰 위협 요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조지프 스티글리츠 컬럼비아대 교수도 이날 이 대학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양적완화 정책을 주도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와 유럽중앙은행(ECB)이 세계 경제에 불안정성만 초래했다"고 비난했다.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공개된 지난 9월 초 이후 지금까지 달러는 주요 통화 대비 평균 6.5% 절하됐는데 이런 달러의 흐름이 많은 이머징 국가의 통화 가치 상승을 가져오면서 통화전쟁이 본격화했다는 것이다. 그는 "이런 관점에서 일본과 브라질 등이 수출업체 보호를 위해 자국의 통화 가치 절상을 억제한 조치는 '필수적인' 행동"이라고 옹호했다.

그러나 최근 급격히 번지고 있는 통화전쟁이 제어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영국의 가디언은 이날 "G7(선진 7개국) 재무장관들이 이번 주 중 비공식 모임을 갖고 통화전쟁 해결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8일부터 워싱턴에서 열리는 IMF 연차총회에서 환율 문제가 중요한 의제로 부상할 전망이지만 이해관계가 첨예해 해법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통화전쟁의 중재자 역할을 자임한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의 주장도 '공론'으로 끝날 가능성이 커졌다. 그는 "새로운 통화질서를 만들자"고 목소리를 높였지만 중국과 미국은 물론 같은 유럽연합(EU) 국가인 독일조차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