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절상 이슈로 급락했던 원 · 달러 환율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급락에 따른 반등과 유럽 은행권에 대한 우려로 달러가 다시 강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하지만 6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에는 다시 원 · 달러 환율 하락(원화 강세)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유는 내외 금리차 확대,위안화 절상,지정학적 리스크에 의한 오버슈팅과 반락 가능성 등 세 가지다.

미 FOMC에서 기준금리가 예상대로 동결되고 연방준비제도의 경기 판단은 하향 조정됐다. 이는 미국의 경제 상황이 출구전략을 시행할 만큼 여유롭지 않다는 방증이다. 소매판매나 기존주택판매 지표에서 보듯 기저효과에 의한 개선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미국의 경기 회복세는 주춤하고 있다. 경제지표들이 기대에 못 미치는 현상이 지속될 경우 미국 기준금리의 인상 시점은 더 연기되고 채권금리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한국은 채권금리가 상승하고 있다. 이달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하반기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공감대가 더 강하게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미국과 한국의 채권금리 차는 더 확대될 수밖에 없고,이는 다시 원 · 달러 환율의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위안화 절상 이슈도 단기적으로 원 · 달러 환율 하락 압력으로 작용한다. 중국은 예전과 달리 외환시장의 변화된 위안화 환율을 반영해 고시환율을 발표하고 있다. 위안화 절상 기조 속에서 원화 강세를 용인하지 않을 수 없는 데다 위안화 절상이 단기적으로 국내 수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 등이 원화 가치 상승 압력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원화 강세 속에서는 코스피가 크게 오르기 힘들다. IT 자동차 같은 시총 상위 수출주에 대한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기 때문이다.

반면 원화 강세 수혜가 예상되는 철강,환율에 덜 민감한 금융,저가 매수세 유입이 예상되는 건설업종 주가는 차별화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철강주는 위안화 절상과 중국의 수출환급세 폐지로 수출 경쟁력이 높아졌다. 은행과 보험업종은 최근 금리 상승에 따른 수혜도 예상된다.

구희진 대신증권 리서치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