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이후 환율 상승세가 주춤거림에 따라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 이후 국내 증시를 떠받쳤던 수출업종이 이제는 주도주 위치를 내놓은 것 아니냐는 시각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원·달러 환율은 현 수준에서 크게 하락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대외적으로 보면 모기지대책의 효과가 나타나면서 달러가치가 시간이 지날수록 회복되며 원·달러 환율 하락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기관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올 상반기 1%대에 머물 것으로 보이는 미국경제 성장률이 하반기에는 2%대로 올라설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인 시각이다.

대내적으로도 달러화 공급이 늘어나기는 어려워 보인다.

선물환을 통해 미리 달러화를 처분한 상태에서는 수출이 잘된다 하더라도 실제로 달러화 공급으로 이어지기는 한계가 있다.

또 리보금리(Libor·런던 시중은행 간 금리)가 상승하는 상황에서는 국내기업과 금융사들의 해외차입도 힘들어 신규로 달러화 공급이 늘어날 가능성도 적다.

더욱이 지금처럼 외환보유액을 한국은행과 한국투자공사가 이원적으로 관리하는 체제에서는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보유 달러화를 쉽게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여건도 못된다.

한국은행은 비상금 성격의 유동성 확보에,한국투자공사는 설립 목적대로 수익성 제고에 우선적인 목적을 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달러화 수요는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최근처럼 국제원자재 가격의 고공행진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이에 따른 결제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증권사를 비롯한 국내 금융사들이 마치 유행처럼 국내자금을 일으켜 글로벌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달러화 수요가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정책적으로도 성장우위의 경제정책을 운영하는 현 정부로서는 인플레 안정을 위해 원화 가치를 올린다 하더라도 그 폭에서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이 때문에 주요 예측기관들은 달러화가 부족한 수급사정이 쉽게 풀리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원·달러 환율이 현 수준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으로 환율이 크게 하락하지 않는다면 경제주체 가운데 체감물가가 상승하고 경제고통지수가 높아질 것으로 보이는 국민들이 가장 큰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

새 정부의 경제정책이 예전 개발시대처럼 성장목표 달성에 집착한 나머지 국민들에게 고통을 전가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다른 아시아국가들은 1년 전부터 물가안정과 늘어나는 국민들의 경제고통을 줄이기 위해 자국통화의 절상을 유도해 왔다.

대부분 아시아 국가들의 통화는 1년 전에 비해 10% 정도 절상됐다.

반면 같은 기간 중 원화는 14% 절하돼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정부가 원화가치 하락을 시도하기보다 주어진 여건에 순응해 최소한 경쟁국 통화만큼 높여야 과도한 원화 약세에 따른 부작용을 흡수할 수 있다.

대체로 원화가치의 적정수준으로 일컬어지는 달러당 1000원 내외까지 올리더라도 수출 등에는 별다른 문제는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하반기 이후 모기지 대책의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미국경기가 회복될 경우 자동차,정보기술(IT) 등으로 대표되는 수출업종은 환율에서 다소 불리해지는 요인을 극복하고 계속해서 주도주 위치를 유지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객원 논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