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체력 보강을 위해 우량기업 신규 상장이 필요하다는 점에는 증권업계는 물론 정부도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물량부담으로 상승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우량주 공급확대가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공기업과 우량 대기업 상장 확대를


증권선물거래소는 우량주식 공급확대 방안으로 △우량 공기업의 민영화 및 상장 △대기업 비상장 계열사의 상장 △외국기업 상장 등을 꼽고 있다.


생명보험사도 계약자 수익배분 문제가 해결돼 상장된다면 증시 기반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 대형 우량주가 상장된다면 시중 부동자금을 증시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상장요건을 갖춘 공기업은 산업은행 주택공사 마사회 등 12개,10대 그룹 계열사는 삼성SDS LG이노텍 롯데건설 케피코 등 54개사로 집계되고 있다.


하지만 공기업 상장은 각 부처 간 조율이 필요하고 일부는 법 개정까지 요구돼 최소한 2~3년은 걸릴 전망이다.


또 대기업 계열사의 경우도 내년 2월 상장 예정인 롯데쇼핑을 제외하곤 대부분 유보자금이 많아 아직 필요성을 못 느낀다는 입장이어서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기업 상장은 내년쯤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된다.


삼성증권이 중국 상하이증시에 상장돼 있는 화학원료업체 3F와 국내증시 상장을 논의 중이며 다른 증권사들도 중국기업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생보사 상장도 관심사다.


금융감독위원회 관계자는 "교보생명 상장문제는 내년 중 마무리짓겠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고 밝혔다.


교보생명이 상장되면 이를 모델 삼아 삼성생명 상장 문제도 풀릴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시총 5% 이내 공급 땐 충격 없어"


증시 일각에선 한꺼번에 많은 물량이 쏟아질 경우 상승세를 타고 있는 증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김세중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최근 외국인이 주식을 꾸준히 매도해 유통물량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공급물량의 급격한 확대는 증시에 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신규 공급물량이 시가총액의 5% 이내에서 적정하게 이뤄진다면 시장에 물량부담을 주진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과거 20년간 공급비율과 주가등락률을 비교해 보면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후반처럼 공급물량이 시가총액 대비 10%를 넘어선 시기에는 주가가 하락했지만 3~5% 수준일 땐 주가가 상승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시가총액이 600조원 수준인 점을 감안할 때 매년 30조원 이내로 공급물량이 분산돼 이뤄진다면 큰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