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 소액주주 무시관행 개선필요".. 이코노미스트
영국의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지는 19일 발매될 최신호에서 한국의 재벌개혁은 절반 정도 진행됐으며 한국기업들은 소액주주를 무시하는 관행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는 18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호에 실릴 `한국조사보고서'(A survey of South Korea)란 제목의 한국 특집기사 내용을 발표했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재벌개혁은 절반 가량 진행됐으며, 97-98년에 이어 제2라운드에 접어들었다"며 "한국기업들은 아직도 소유주 일가가 소액주주들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것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이라고 평가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어 "주주와 주주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소액주주의 권한을 확대하는 정책이 기대되고 있으며, 집단소송제 등 노무현 대통령의 재벌정책이적절히 실행될 경우 외국투자자들을 설득하는 효과를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는 "강금실 법무장관 임명과 언론정책 변화 등의 진의는 아직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며 "권력분산과 세대교체 등 각종 개혁이 민주적 절차에 따라이뤄질지가 주목된다"고 주장했다.
그간 한국에서 언론과 정부의 관계는 건전하지 못한 면이 있었던 게 사실이며,언론정책 변화가 여론통제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면 바람직한 것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말했다.
이코노미스트는 또 작년 12월 퓨리서치센터 조사 결과, 한국인의 44%가 미국을 싫어하는 것으로 조사돼 이슬람국가를 제외하면 아르헨티나에 이어 미국을 싫어하는 비율이 두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 잡지는 "한국이 테러리즘과 무기의 확산을 전 세계적, 지역적 차원이 아니라미국만의 문제로 보는 한 두 나라의 관계는 불편한 동맹국으로 남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코노미스트는 북핵문제와 관련, "여러나라가 `외교적 해결책'을 언급했지만미국과 일본은 `해결'에 다른 나라들은 `외교'를 강조해왔다"며 "미국이 외교적 노력을 통해 문제를 풀 것으로 확신하지만 북한이 이 것을 어떻게 이용할 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브라인언 배리 이코노미스트 동북아담당 편집장은 SK사태와 관련, "법을 준수하는 투명한 기업문화를 정착시킬 기회"라며 "검찰수사가 표적 차원이 아니라면 외국의 투자심리도 점차 회복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공병설기자 kong@yonhapnews.co.kr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