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세계증시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두 나라가 있다. 과거 사회주의의 양대 국이었던 중국과 러시아다. 그 중에서 2001년 이후 가장 유망한 투자대상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러시아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미 러시아 주가는 2001년 80%,지난해에는 40% 이상 급등했다. JP모건에 따르면 2001년 이후 러시아 채권지수의 상승폭도 이머징마켓 채권지수의 무려 3배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됐다. 불과 몇년 전 외채상환 불이행으로 국제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던 점을 감안하면 놀랄 만한 일이다. 체제개혁 이후 한동안 혼미상태가 지속됐고 중남미와 함께 최악의 외채부담으로 고통받아 왔던 러시아가 급부상하는 데에는 크게 보면 두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무엇보다 2000년 하반기 푸틴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추진해온 개혁정책이 주효하고 있는 점이 꼽힌다. 푸틴 대통령은 전임 옐친 시대에서는 상상도 하지 못할 정도의 개혁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연금·재정·조세·토지·사회보장·노동·사업·기업환경·은행·독점기업 등 개혁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분야가 없을 정도다. 현지 언론과 전문가들은 '제2의 페레스토로이카(개혁)' 시대를 맞고 있다고 말할 정도다. 원유 등 원자재 가격이 99년 이후 강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도 도움이 되고 있다.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경상수지는 99년 이후 1백억달러 이상의 흑자기조를 지속하면서 지난해에는 6백억달러 이상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물론 대규모 경상수지흑자는 경기회복과 외채문제,국가신용도 개선에 결정적인 힘이 되고 있다. 러시아 경제도 급부상하고 있다. 99년 이후 플러스 성장세로 돌아선 러시아 경제는 2000년 9%,2001년에는 5%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세계경기의 동반 침체속에서도 4%대의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하나는 서방정책이 변하고 있는 점이다. 특히 외채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고 있는 것이 국제금융시장으로부터 신뢰를 회복하고 있다. 90년대 들어 2000년 하반기까지 러시아의 외채정책은 런던클럽(민간채무)과 파리클럽(공공채무)에서 결정된 외채탕감 여부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수동적 자세로 일관해 왔다. 이런 러시아가 2001년 이후 경제여건이 개선되고 서방국가와의 관계개선 노력으로 대외신용이 꾸준히 회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기채(起債) 시장에서 다시 유로채 발행이 가능해지면서 러시아는 단기외채를 상환하는 방식으로 적극 대처해 오고 있다. 결국 경제여건이 개선되고 외채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면서 러시아는 증시를 중심으로 유망한 투자대상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셈이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 것인가. 러시아의 외채문제는 올해 또 한차례 고비를 맞을 가능성이 크다. 대외적으로도 러시아의 대(對)이란 미사일 개발지원 의혹 등으로 서방과의 관계가 언제든지 다시 악화될 소지가 있다. 러시아 내부적으로는 높은 성장에도 불구하고 부정부패,빈부격차,열악한 산업경쟁력,마피아 경제 등 고질적인 문제들이 전부 해결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앞으로 러시아가 계속 성장하고 유망한 투자대상국가로 남을 수 있느냐 하는 점은 이같은 내부적인 문제해결 여부와 세계경기 및 국제 원자재 가격의 향방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 베네수엘라의 장기파업,미국과 이라크간의 전쟁 가능성 등으로 국제유가는 최소한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목표대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푸틴 대통령의 개혁정책도 2001년 마련된 △기업환경관련 7개 법안 △재정개혁관련 7개 법안 △은행관련 3개 법안을 토대로 탄력있게 추진되고 있다. 결국 올해도 러시아는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증시를 중심으로 유망한 투자대상국가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