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는 50년대 미군차량을 개조해 팔던 신진자동차가 모태로, 부평공장에서 도요타의 코로나 등을 조립생산하던 70년대초까지국내 1위 업체였다. 72년 도요타 철수 이후 50% 지분을 인수한 미 제너럴모터스(GM)와 손잡고 GM코리아로 바꿨으나 GM의 시보레 모델 등을 들여와 조립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후 현대차 포니와 기아차 브리사를 당하지 못한 채 76년 산업은행 관리체제로넘어가자 간판을 새한으로 교체했고 대우가 78년 산은의 보유지분을 인수한 뒤 82년경영권을 장악, 대우차가 탄생했다. 대우차는 80년대 GM의 월드카 오펠 카데트 모델인 르망으로 기회를 엿봤지만 실패, 91년 경영위기를 맞았고 92년 GM과 결별하고 품질관리와 무이자 할부 판매로 내수점유율을 유지하며 이른바 세계경영이란 캐치프레이즈를 내걸었다. ㈜대우와 대우중공업의 힘을 빌려 동구권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완성차 조립공장을 짓는 동시에 라노스, 누비라, 레간자 등 3개 모델을 동시에 개발한 것. 그러나 과도한 무이자 할부 판매와 차입경영으로 허점이 생긴 가운데 97년 12월쌍용차를 인수하는 모험을 또다시 감행, 결국 99년 8월 워크아웃을 맞게 됐다. 이후 매각과정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단독 선정됐던 포드가 2000년 9월 중순 갑자기 중도하차, 30%까지 올랐던 점유율이 20% 밑으로 급락했고 같은 해 11월6일 1차부도를 낸 뒤 노조가 채권단이 요구한 자구계획 동의서 제출을 거부, 최종부도를 내법정관리에 들어갔다. 또 제너럴모터스(GM)로의 매각을 전제로 강도높은 구조조정에 돌입, 부평공장의생산직 1천750명을 해고하는 최대 규모의 정리해고를 단행하기도 했다. GM은 우리 속을 태우다 지난해 6월초 인수제안서를 제출했고 9월 21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데 이어 이번 본계약을 맺음으로써 대우차를 `수중'에 넣었고 대우차는 잔존 법인으로 남은 사업장을 정리하면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기자 keykey@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