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결이냐, 결렬이냐'. 하이닉스반도체[00660]와마이크론테크놀로지간 매각협상이 중대고비를 맞고 있다. 양사 최고위층은 물론 채권단까지 가세한 미국 새너제이 협상은 미합의 쟁점의 '일괄타결' 여부에 대한 결론 도출을 앞두고 팽팽한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양측 모두 "더이상의 협상은 없다"며 배수진을 치고 협상에 임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구조특위 주변에서는 이번주 말을 '심리적' 협상시한으로 보는 인식이 높아 15일중 양단간의 결론이 내려질 것으로 전망된다. ◆ '타결가능성은 50대 50' = '타결이냐, 결렬이냐'의 여부는 50대 50으로 여전히 팽팽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는게 구조특위 고위관계자의 분석이다. 지난 주말채권단의 협상팀 합류로 타결쪽으로 기우는 듯 했지만 협상흐름상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는 것이다. '일부 진전'은 있지만 협상흐름을 좌우할 핵심쟁점에 관해 아직도 '현격한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조특위 관계자는 "부분적으로 개별항목에 대해진전이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인 협상의 성패를 이야기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따라서 항간에서 추정하는 양해각서(MOU) 체결가능성도 아직은 물음표라는 얘기다. 물론 마이크론이 일정부분 '양보'하는 쪽으로 자세를 바꾸고 있고 채권단의 분위기도 `매각'쪽에 적극성을 띠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특히 채권단의 움직임은 정부내에서 매각방침이 확정돼 있다는 관측과도 무관치 않아보인다. 그러나 채권단 내부적으로는 협상이 깨질 가능성이 더욱 자주 거론되고 있다는후문이다. 채권단 고위관계자는 이날 "굳이 불리한 조건을 감수하면서 협상을 성사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내에서도 매각쪽에 무게를 두면서도 소액주주의반발과 MOU 체결이후 후속절차에서의 논란 등을 부담스러워하는 분위기가 높아지고있다. ◆ 잔존법인 처리가 최대관건 = 협상타결 여부를 가늠할 최대이슈는 아무래도메모리부문을 팔고 남는 비메모리 법인의 생존력 확보문제로 압축된다. 소액주주와노조가 매각반대를 주장하는 주된 근거가 바로 잔존법인이 '속빈강정'으로 전락할것이라는 우려에 터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우리측은 마이크론이 신설 메모리법인에 15억달러 '+α'를 지원해주고,' α'만큼 마이크론이 잔존법인에 지분투자하는 방식을 제안, 집중조율을 진행중이지만 아직껏 이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조특위 고위관계자는"잔존법인 처리와 소액주주 보호문제가 제대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딜 자체가 성립할수 없을 것"이라고 밝혀, 이 부분의 합의도출에 주력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인뎀니피케이션(Indemnification.사후손실보상)' 문제도 뜨거운 쟁점이 되고있다는 후문이다. 하이닉스 인수대금(40억달러)을 에스크로 계좌에 예치한 뒤 우발채무 등 추가 손실발생시 일정액을 되찾아가겠다는 것으로 입장차가 여전하다. 특히우리측은 현대투신과 AIG간 매각이 틀어진 것이 바로 이 문제였다는 점에서 몹시 신경을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밖에 ▲주식기준산정일 ▲주식보호예수기간 설정문제를 놓고도 이견조율이 진행되고 있다. ◆ '선(先) MOU' 체결가능성 = 구조특위 주변에서는 양측이 일단 기본적 합의사항을 담은 MOU를 체결한 뒤 후속협상을 진행하는 방안이 설득력있게 대두되고 있다.일부 핵심쟁점에 관한 이견차가 해소되지 않은 만큼 지금까지 합의된 매각가격과 고용승계 등의 내용을 담은 기본합의서 성격의 MOU를 맺고, 이후 세부협상을 통해 최종합의를 도출하자는 얘기다. 여기에는 협상을 무작정 질질 끌기보다는 `시간을 두고' 해결의 실마리를 풀어보자는 의도가 깔려있는 셈이다. 이는 양측이 딜을 계속 추진한다는 시그널을 던짐으로써, 협상장기화를 `사실상결렬'로 인식할 가능성이 높은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를 거둘 수있다는 관측이다. 또 대우차와 현대투신 처리지연과 맞물려 하이닉스 협상을 조기에매듭지으려는 정책적 고려도 일부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과거의 전례처럼 MOU를 체결했다가 최종적으로 딜이 성사되지 못했을 경우 대외신인도에 미칠 악영향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반론도 있다. 특히 유.무형자산에 대한 정밀실사 과정에서 우발채무 발생 가능성이 걸림돌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여기에 신규투자가 시급한 반도체산업 특성상 투자주체의 불확실성 등 협상장기화에 따른 부담도 간과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에따라 이번 협상은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최대한 `공정률'을 높이는 방향에서 합의타결을 도출, MOU를 체결할 것이라는 분석이 구조특위 주변에서 높아지고있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rhd@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