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신(KT)은 꾸준한 실적주다. 지난해 매출은 2000년보다 11.6% 증가한 11조5천1백99억원,영업이익은 53.7% 늘어난 1조4천5백50억원을 기록했다. 2000년에 9.2%였던 영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액)은 12.6%로 3.4%포인트나 높아졌다. 순이익은 7.6% 증가한 1조8백71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영업측면(SK텔레콤 지분 처분이익과 KT엠닷컴에 대한 영업권 상각분을 제외)만을 감안한 순이익은 2000년보다 96.1%나 증가한 8천5백억원으로 추정됐다. 즉 수익구조가 실질적으로 크게 개선된 것. 회사측은 "인터넷 부문의 매출비중이 확대되면서 매출액이 두자리수로 증가한 반면 구조조정 및 임금동결 등 비용절감 노력으로 영업비용은 7.4% 늘어나는데 그쳤다"고 실적호전의 이유를 설명했다. 지난해 인터넷 부문의 매출 신장은 그야말로 눈부셨다. 초고속인터넷의 매출은 2000년보다 3백41.5%나 증가했다.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2000년말 1백32만명에서 지난해말에는 3백85만명으로 2백50만명 이상 늘었다. 또 인터넷 사업은 1백69.1% 증가했으며 무선사업은 1백66.4% 증가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이같은 실적개선 추세가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구조조정 및 임금동결 등으로 인한 비용절감이 가시화되고 있고 인터넷 사업이 수익 회수기에 진입하면서 수익성이 꾸준히 호전되고 있기 때문이다. 주가는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초부터 지난 2월26일까지 종합주가지수는 60% 가량 오른 반면 KT는 21.1% 오르는데 그쳤다. 정부가 KT 민영화를 위해 보유지분 8천8백57만주(28.3%)를 오는 6월말까지 매각키로 하면서 주가는 "수급불안"에 발목을 잡혔다. 그러나 정부지분 매각문제도 점차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정부는 최근 "대기업이 최대 15%(공기업민영화특별법상 동일인 취득지분한도)를 매입할 경우 의결권이나 지분권 제한을 통해 경영권 행사를 막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대기업의 의결권 행사"를 막지 않기로 내부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업계는 정부가 지난해 초 정부보유분의 국내입찰과정에서 정했던 "동일인의 5% 지분한도"를 완화한 데 이어 "의결권 제한"마저 하지않기로 함으로써 사실상 매각의 걸림돌이 사라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 LG SK그룹 등 "돈있는 재벌"이 앞다퉈 입찰에 참가,지분 매각이 예상보다 쉽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연간 매출이 11조를 넘는데다 수익성과 성장성을 두루갖춘 KT는 매력적인 인수대상이기 때문이다. 또 기존의 통신관련 사업과의 시너지효과도 기대된다. 이와 함께 대기업의 지분매입이 여의치 않을 경우,KT가 10% 가량의 자사주를 매입, 소각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증권업계는 보고 있다. KT는 다음달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사회가 자사주 소각을 결의할 수 있도록 정관을 개정할 예정이다. 정부와 KT는 이달 말까지 국내외 8개 금융기관으로부터 가장 효율적인 지분매각을 위한 제안서를 접수받는다. 이어 다음달 초 국내 1~3개사와 해외 1개사의 매각 주간사로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