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AIG 컨소시엄은 현대투신증권 등에 대한 공동출자 본계약을 10월말까지 체결키로 했다. 남은 시간은 두달. 그러나 MOU 발표직후 협상내용을 정면으로 뒤흔드는 AIG측의 요구가 돌출하는등 난관이 첩첩이 쌓여있다. 정부로서는 AIG와의 추가협상도 그렇지만 소액주주 문제, 현대그룹과의 후속협상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 AIG 반발은 내부문제? =AIG측은 현대증권의 우선주 발행가격을 뒤늦게 문제삼고 있다. 가격이 매매계약의 핵심사항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자칫 매각구도 전체가 흔들릴 수도 있다는 얘기다. AIG는 그러나 "현대증권의 신주발행가 8천9백40원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만 밝혔을 뿐 자신들의 구체적인 협상대안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일부 미국계 언론을 통해 7천원을 주장하고 있지만 아직 우리측에 통보하지도 않은 상태. 정부는 AIG의 반발을 의아해 하면서도 컨소시엄 내부 의사결정 과정에서 무언가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그렇게 좋은 징조는 아니다. 잘못하면 컨소시엄이 깨질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정부내 실무자들은 이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 AIG 속셈은 =컨소시엄 내부 갈등문제가 아니라면 AIG의 속셈은 다른데 있다. 가격문제를 걸어 다른 조건들에서 유리한 결과를 얻어내려 하는 협상전략의 하나라는 분석이다. AIG 발표문에서도 이점은 분명히 드러난다. '다른 거래조건들이 신속히 조정되지 않는 한'이라는 단서는 추가협상에서 유리한 결과를 얻어내려는 전략을 읽을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AIG 컨소시엄의 한축인 W.L 로스그룹의 윌버 로스씨는 월스트리트저널지를 통해 "현대증권 지분을 늘리고 현대투신 지분을 줄이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혀 주목을 끌고 있다. 물론 이는 현투증권 6천억원, 현대증권에 4천억원을 투자하기로한 MOU의 핵심내용을 뜯어고치는 것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주장이다. AIG가 주당 7천원으로 현대증권을 인수하게 되면 투자금액 4천억원을 기준으로 할때 지분율은 34.8%가 된다. 8천9백40원일 때보다 5.4%가량 늘어난다. 만일 지분율 29.45%(4천4백만주)를 기준으로 한다면 양해각서상 4천억원에서 미달하는 3천1백80억원만 투자하면 된다. ◇ 추가협상의 다른 걸림돌 =대우채에 대한 투신사의 배상책임을 인정한 최근의 법원판결도 현대투신 매각협상에 중대한 새로운 장애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실제로 AIG측은 최근 수일동안 현대투신의 대우채 배상책임 여부를 정밀 조사해간 것으로 알려졌다. 만일 AIG측이 현대투신의 대우채 배상 책임 문제를 걸고 나온다면 정부로서는 대응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제일은행 경우처럼 "우발채무는 전부 정부가 책임진다"는 식의 면죄부를 끊어줄 수도 없다. 정부는 아직 AIG측의 공식적인 요구가 전달되지 않은 상태라고 밝히면서도 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놓고 벌써부터 고민에 빠져 있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