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 연휴를 앞두고 관광객(유커) 귀환에 대한 기대감으로 화장품 관련주가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사태 이전과 동일한 '유커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장기적으로는 비(非)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중소형 화장품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한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브이티는 전 거래일보다 2.54% 오른 1만98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마녀공장 역시 7.14% 뛰었고, 애경산업, 클리오 등도 각각 1.86%, 4.95% 상승했다. 대형주로 꼽히는 LG생활건강(2.83%), 아모레퍼시픽(2.55%)도 강세였다. 국경절 연휴를 앞두고 국내를 찾는 유커가 늘 것이라는 기대가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이외의 시장을 공략한 중소형 화장품주들의 선전이 눈에 띈다. 9월 들어 이날까지 주가 흐름을 살펴보면 중소형 화장품주만 나홀로 상승세다. 이 기간 LG생활건강, 아모레피시픽 주가는 각각 6.29%, 6.30% 떨어졌다. 대형 화장품주는 중국 리오프닝 효과를 기대했지만 경기침체 영향으로 예년만큼의 특수를 기대하기 어렵게 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들 업체는 반짝랠리 이후 상반기 부진한 실적에 주가가 하락세로 전환했다.
중소형 업체 대부분은 시장 전망치를 상회한 실적을 냈다. 최근 에이블씨엔씨에 이어 브이티와 클리오가 줄줄이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9월 들어서만 주가가 40.62% 오른 브이티의 경우 올해 1월 일본에서 출시한 신제품 '리들샷'이 인기를 끌면서 증시에서 주목받고 있다.
박현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중소형사들의 실적 강세는 대부분 국내와 일본, 북미에서 나오는 성과들"이라며 "대형주의 투자 포인트 역시 중국 시장 회복보다는 구조조정, 브랜드 리뉴얼 성
코스피지수가 3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2500선 밑으로 떨어졌다.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홀딩스 등 2차전지 관련주가 급락하며 주가 하락을 주도하고 있다.
25일 오후 2시 기준 코스피지수는 0.4% 내린 2498.16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피가 250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 5월17일(종가 2,494.66) 이후 4개월 만이다. 이날 외국인과 기관이 유가증권시장에서 각각 1327억원, 574억원 순매도하며 하락세를 이끌고 있다.
6년 만에 가장 긴 추석 연휴를 앞두고 투자자들이 현금 확보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가와 환율이 급등하는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어서다.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지난 2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고금리 장기화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고 말했다.
2차전지 투자심리 악화도 증시를 끌어내리고 있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과 포스코홀딩스는 각각 3.36%, 4.92% 급락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5.81%), 에코프로비엠(-8.36%), 에코프로(-6.17%) 등 2차전지 소재 업체들도 큰 폭으로 내리고 있다.
코스닥 2차전지 대장주인 에코프로비엠에 대한 ‘비중 축소’ 보고서도 투자심리를 악화시켰다. 이날 유진투자증권은 에코프로비엠 목표가를 20만원으로 제시하고, 에코프로비엠 3분기 영업이익이 84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양극재 업체들의 2030년 기준 설비 능력은 중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전기차에 공급하고도 남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국내 증시가 지난달 중순 이후 박스권에 갇혀 있는 동안 배당주 상장지수펀드(ETF)는 상승세를 보이면서 투자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다만 같은 배당주 ETF라도 구성 종목과 운용사에 따라 수익률 차이가 천차만별이라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같은 ETF라도 수익률은 제각각24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배당 테마 ETF 17종의 1개월(8월 22일~9월 22일) 평균 상승률(수익률)은 3.79%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체 주식형 ETF가 평균 1.23% 하락한 것을 고려하면 양호한 편이다.
상품별로는 ‘ARIRANG 고배당주’와 ‘KOSEF 고배당’이 7.54%로 1개월 수익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HANARO고배당’이 6.83%, ‘KBSTAR 200고배당커버드콜ATM’이 5.25%, ‘KBSTAR고배당’이 5.11% 순이었다.
높은 수익률을 낸 ETF는 은행주가 순자산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예컨대 ARIRANG 고배당주는 보유 종목 상위 10개 중 8개가 기업은행, KB금융, JB금융지주 같은 은행주였다.
은행주 비중이 적은 배당주 ETF는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코스닥시장 종목 중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에 투자하는 ‘KBSTAR KQ고배당’은 최근 1개월 수익률이 -2.04%에 불과했다. 마찬가지로 은행주 비중이 적은 ‘KBSTAR 중소형고배당’(1.45%) 등도 수익률이 비교적 부진했다.
김인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 업종은 최근 금융감독원장이 ‘배당에 대한 금융회사의 자율성 보장’을 언급하면서 주주 친화책에 대한 기대 등으로 수익률이 개선됐다”며 “연말 배당 기대 등으로 배당주 ETF에 자금 유입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미국 월배당 ETF 몰려간 개미들전문가들은 배당주 ETF에 투자할 때는 연간 분배율 역시 따져야 한다고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