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AIG컨소시엄이 결국 현대투신증권에 공동출자하는 방안으로 현대투신 문제는 해결 가닥을 잡았다.

아직 공동출자가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오는 2월말까지는 어떤 식으로든지 매듭을 짓겠다는 것이 정부의 의지인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따라 투신권 전체에 대한 불안감도 해소될 것으로 보여 자금시장 전체가 빠르게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상승세를 타고 있는 증시에도 상당한 기여를 할 전망이다.

특히 투신권에 다시 돈이 들어올 경우 국내외 금리인하 추세와 맞물려 ''유동성 장세''가 예상보다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위원회가 31일 발표한 ''AIG컨소시엄의 공동출자 제안서'' 내용엔 새로운 사실이 별로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IG의 제안서가 증시에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이에 대한 정부의 반응 때문이다.

진동수 증선위 상임위원은 "정부와 AIG가 공동실사를 벌여 투입해야 할 자금규모와 투입방법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해 공동출자에 응할 방침임을 강력하게 시사했다.

정부가 현대투신증권을 원만히 해결하기로 마음 먹었다는 징표다.

그렇다고 구체적인 문제까지 완전 해결된 것은 아니다.

AIG는 당초 현대증권(5천억원) 현대투신증권(3천억원) 현대투신운용(3천억원) 등에 1조1천억원을 출자키로 했다.

정부는 그러나 현대증권은 제외하고 현대투신증권과 현대투신운용의 경영권만 넘겨주기를 바라고 있다.

현대증권에 미련을 갖고 있는 AIG가 이를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공동출자 방식도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정부 관계자들은 공적자금의 직접투입이 아닌 산업은행 등 국책금융기관을 통한 우회출자방법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 경우 공적자금 투입에 따른 부실금융기관 지정이란 절차를 밟지 않아도 된다.

감자(자본금 감축)도 뜨거운 사안이다.

정부 분위기를 종합하면 현대투신의 대주주인 현대전자와 현대증권의 지분은 감자하되 소액주주의 지분은 감자비율에 차등을 둘 공산이 크다.

이런 문제에도 불구하고 현대투신 문제는 해결 가닥을 잡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투신권 잠복문제 해결→투신권에 돈 유입→투신의 기관 역할 회복→신용경색 해소 및 주가 상승''이란 선순환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하영춘 기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