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부실우려금고''를 인수하는 금고에 대해서도 공적자금을 지원키로 함에 따라 신용금고 업계의 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타게 될 전망이다.

금고업계는 연말까지 부실금고 정리가 끝나고 업무 영역이 넓어지면 영업 환경 또한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신용금고가 ''은행''이란 이름에 걸맞은 위상을 세우는데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 급진전될 금고 구조조정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6월말 현재 BIS 비율이 1∼6%로 부실징후가 있는 금고는 모두 39개.

이중 9개가 영업정지 중이어서 퇴출 가능성이 높다.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9개 금고중 2개는 이미 퇴출됐다.

현재 금감원의 자산실사를 받고 있는 6%미만 12개 금고중 3∼4개도 추가 퇴출될 가능성이 크다.

부실징후가 있는 금고가 인수.합병 등을 통해 정리될 경우 현재 1백60개인 금고 수는 1백30개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인수.합병 촉진안의 핵심은 자금지원 확대다.

부실징후가 보이는 금고를 인수.합병하면 피인수금고의 BIS 비율을 8%까지 맞추기 위한 자금의 3분의 2를 지원하겠다는 것이 정부 방침이다.

대출금은 7년거치 일시상환에다 ''무이자''로 지원될 가능성이 크다.

이같은 ''당근''으로 최근 대구와 강원지역의 10개 중소금고들이 2개 금고로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등 금고간 합병바람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 금고 구조조정 자금으로 4조3천억원을 배정해 놓고 있다.

그러나 이 자금이 충분할지는 미지수다.

◆ 해결해야 할 과제 =대표적인 것이 금융결제원 가입문제다.

업계는 1년전 전산망을 구축하고 가입을 유도하고 있지만 22개만 가입한 상태다.

특히 자산순위 1∼4위의 대형금고들은 정보유출을 이유로 아직 참여하지 않고 있다.

현행 금고법은 내국환 업무를 대부분 허용해 놓고 있지만 금고들은 금융결제원에 가입하지 못해 당좌거래나 지로, 대규모 자금이체 등을 통한 저리자금 조달, 이자 및 수수료 수입 등을 놓치고 있다.

인력도 부족하다.

전체 금고의 약 80%는 50명 미만의 인력으로 운영하고 있고 충남과 강원 지역은 평균인원이 20명에도 못미친다.

업계 발전을 위해서는 전문 인력의 충원과 교육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