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하이테크의 펀드매니저 주가조작 사건이 터진 지 두달반이 흘렀다.

신뢰에 금이 간 투자신탁회사들은 그후 ''집안단속''에 혼신의 힘을 쏟고 있다.

A투신사 관계자는 "펀드매니저의 사기가 다소 꺾이는 부작용이 있더라도 내부감시 시스템을 까다롭게 적용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이런 움직임은 비단 A투신사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펀드매니저들도 요즘 부쩍 몸을 사리고 있다.

눈꼽만큼이라도 의심을 받을 만한 여지가 있으면 좀처럼 행동(매매)에 나서지 않는다.

비록 그것이 적법하고 펀드 수익률에 보탬이 되더라도 말이다.

한 펀드매니저는 "세종하이테크 사건이 터진 후에는 재량껏 펀드를 운용하는 펀드매니저를 찾아보기 힘든 형편"이라고 털어놨다.

소신 있는 펀드매니저가 사라지고 있다는 얘기다.

감독당국 역시 규제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

이 모두가 깨끗하고 투명한 간접투자시장을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의욕이 지나쳐 규제가 도를 넘어서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 업계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최근 금융감독원과 투신협회가 마련한 투신사 내부통제기준이 대표적인 예다.

이 기준에 따르면 투신사 임직원은 신문 방송과 같은 대중매체와 접촉할 때 반드시 사내 준법감시인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특히 회사의 투자내용과 관련해 증시에 영향을 미칠만한 내용이 포함된 의사개진은 아예 금지토록 했다.

펀드매니저의 지위를 이용한 불공정 거래의 소지가 있다는 게 감독당국의 설명이다.

물론 당국의 우려대로 펀드매니저가 나쁜 마음을 먹을 수도 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그런 사람은 자연히 도태되게 마련"이라고 지적하면서 "이번 조치는 펀드매니저들에게 완전히 재갈을 물린 꼴"이라고 말한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는 것이다.

투신사는 최대 기관투자가다.

이들이 증시전망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시장이 좌우될 때가 많다.

그래서 투신권의 일거수일투족은 개미군단의 큰 관심사항중 하나다.

투자여부를 결정한다든지 종목을 선택할 때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장진모 증권1부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