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시장의 경색현상이 증시의 최대 변수로 등장했다.

증시에 나도는 ''6월 괴담''은 사뭇 으스스하다.

이름만 대면 알 수 있는 중견기업이 자금조달에 애로를 겪고 있다는 설이 난무한다.

정부와 채권단이 ''별 이상이 없다''고 아무리 강조해도 시장은 이를 믿으려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증시도 잔뜩 겁을 집어 먹은채 위축되고 있다.

이런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채권싯가평가가 무리없이 시행됐다는 점이 판명되고 투신사가 제기능을 회복해야 시장도 정상적으로 작동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자금시장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증시는 말할 것도 없다.

전문가들은 따라서 이럴때일수록 우량주위주로 매매대상을 압축시키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구설수에 오르는 기업이 정상화된다고 해도 그 과정에서 주가는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 잣대중 하나는 역시 실적이다.

실적이 좋아 현금흐름이 원활한 기업을 선택할 경우 큰 수익률은 올리지 않더라도 마음고생은 덜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 "6월 괴담설"의 실체는 ="OO기업이 조만간 워크아웃에 들어간다더라""XX기업은 실적은 괜찮은데 돈을 빌릴 수 없어 회사채 연장도 힘들다더라"는 소문이 골자다.

이런 구설수에 오른 기업들이 상당히 많다.

그러다보니 상당수 기업들이 위험할 것이란 소문으로 비화되며 시장참가자들에게 괜한 공포감을 심어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증시를 감싸고 있는 "6월 괴담"은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된데 따른 것이라기 보다는 금융구조조정의 부산물적인 성격이 짙다고 분석하고 있다.

투신사는 이미 기능이 정지됐다.

구조조정을 코앞에 둔 은행들은 부실규모를 축소하려 잔뜩 움츠리고 있다.

기존 여신마저 회수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견 중소기업들의 CP(기업어음)를 소화하던 종금사들은 자체자금이 모자라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여기에 국제통화기금(IMF)구제금융 이후 발행한 회사채 31조원이 하반기에 만기가 돌아온다.

채권물량은 쏟아지는데 소화할 기관이 없다보니 상당수 기업들이 유동성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진단이다.

<> 가장 좋은 투자잣대는 기업실적 =정부의 적극적인 진화에도 불구하고 괴담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이런 현상이 지속되다보면 별 문제가 없는 기업조차 엉뚱한 유탄을 맞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증시도 마찬가지다.

최근 증시에서 구설수에 오른 기업들의 주가는 맥을 추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럴 때의 투자기준은 기업실적이 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적이 우량해 현금흐름이 좋은 기업을 선택하는 것이 괜한 마음고생에서 벗어날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대형블루칩이나 올 실적이 좋으면서 저평가돼 있는 종목으로 투자대상을 압축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권한다.

<> 올 실적 호전 예상기업 =동원경제연구소는 지난 1.4분기 실적을 감안해 기업들의 올 실적을 예상했다.

관리대상기업과 대우그룹 계열사를 제외한 5백75개 상장기업중 삼성전자 포철 한국전력 SK텔레콤 한국통신이 나란히 순이익 1~5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전자 주택은행 현대자동차 LG전자 국민은행 아남반도체 삼성SDI LG화학 SK 신한은행 담배인삼공사 현대중공업 한국가스공사 에스오일 기아자동차 순으로 순이익을 많을 것으로 분석됐다.

동원경제연구소는 특히 영업이익과 순이익 증가율이 30% 이상이면서 EPS(주당순이익)가 2천원 이상인 기업을 별도로 선정했다.

이들 기업의 이익증가율 30%는 상당한 수준이다.

특히 영업이익이 지난해에 비해 30% 늘어난다는 것은 그만큼 회사가동이 잘되고 있다는 의미다.

자연히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이는 돈도 많아 현금흐름도 원활하다고 동원경제연구소는 설명했다.

이들 기업의 EPS도 2천원 이상으로 높다.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는 얘기다.

동원경제연구소는 이와 함께 올 예상실적을 기준으로 한 저PER(주가수익비율)주도 좋은 투자대상이라고 밝혔다.

EPS가 3천원 이상이면서 PER가 5배 미만인 기업의 경우 수익이 좋은 반면 주가는 저평가돼 있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 동원경제연구소의 설명이다.

이들 종목으로는 동아건설 벽산건설 고려개발 대구백화점 대한해운 현대미포조선 아남반도체 삼성라디에터 삼양통상 부산스틸 비와이씨 남한제지 태광산업 한국수출포장 동원산업 롯데칠성 신영증권 롯데삼강 등이 꼽혔다.

하영춘 기자 hayoung@ 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