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국무회의에서 언급한 내용의 골자는 "남북화해의 초석이 놓였으니 이제 각 부처가 이에 걸맞은 "통일사업"을 찾아나서라"는 지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김 대통령의 이런 입장은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에서 전쟁의 위협이 일정 부분 사라졌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김 대통령은 이날 "우리가 마음만 먹으면 한반도에서 다시 전쟁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 민족이 서로 피를 흘리는 일은 없을 것이며, 그 쪽(북측)도 원치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통령은 이렇게 판단한 이유로 지난 14일 평양에서의 한 장면을 예로 들었다.

김 대통령은 "정상회담 이틀째 만찬석상에서 북한 국방위원들이 전부 평복을 입고 나왔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를 받아 나에게 인사를 왔다"고 말했다.

"이것은 대단히 상징적인 것"이라는게 김 대통령의 설명이다.

남북공동선언문 속에 통일관련 조항이 들어간 것도 이런 판단을 하게 한 이유다.

김 대통령은 이와관련, "누구도 예상하지 않았으며 나도 이것까지 논의하리라 기대하지 않았다"면서 "얘기도중 자연스럽게 접점이 이뤄졌으며 연합국가와 느슨한 연방제가 같은 얘기였고 그래서 합의문에 넣게 됐다"고 합의 배경을 설명했다.

김 대통령은 "자주적 해결"과 관련해 "우리가 주변 4대국과 잘 지내면 스스로 화해 협력하고 민족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면서 "북이 미국및 일본과도 잘 지내야 하며 우리도 이에 협조하겠다"는 뜻을 북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자주"의 의미가 주변국과의 우호관계를 유지하면서 민족문제를 자주적으로 해결해 나간다는 것.

이와 관련, 김 대통령은 일본 모리 요시로 총리의 북.일 관계개선 의지를 김 국방위원장에게 전달했으며 김 국방위원장은 "감사히 접수했다고 전해 달라"고 말했다고 박준영 대변인이 전했다.

이런 한반도 평화정착의 토대 위에서 본격적인 교류를 추진한다는게 김 대통령의 기본 구상이다.

김 대통령은 "남북간 협력 부문에 대해 많은 아이디어와 우리의 생각들을 문서로 만들어 북측에 전달했다"며 "여기에는 문화 체육 환경 보건 등의 문제들이 다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김 대통령은 "정상간 합의를 계기로 북측도 이를 실천할 여러가지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인상을 받았다"면서 임진강홍수피해 공동대응과 남북철도 연결 등이 금명간 추진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영근 기자 yg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