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이 14일 화해 및 통일을 위한 공동노력에 합의함으로써 한반도의 해빙무드가 짙어지게 됐다.

남북한이 분단을 딛고 통일로 가기 위한 첫 걸음은 "화해"다.

이를 위해선 우선 정치적, 군사적 적대성을 제거할 수 있는 실질적 조치가 수반돼야 한다.

지난 92년 발효된 "남북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남북기본합의서)가 "정치 군사적 대결상태를 해소하여 민족적 화해를 이루고"라고 명시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기본합의서는 남북화해를 위해 상대방 체제인정, 상대방의 내부문제 불간섭, 비방.중상 중단, 상대방에 대한 파괴.전복행위 중단, 국제무대에서의 대결과 경쟁 중지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같은 과정을 통해 화해를 이뤄야 통일논의를 제대로 시작할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통일방안에 대해서도 남북한은 이견을 보이고 있어 상당한 논의가 필요하다.

김대중 대통령은 오래전부터 남북연합-국가연방-완전통일로 이어지는 3단계 통일방안을 구상해 왔다.

대외적으로는 연방국가가 대표하고 내정은 남북한 정부가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연방제를 거쳐 완전한 통일국가를 이룬다는 구상이다.

이에 비해 북측의 통일방안은 7.4 남북공동성명에 천명된 자주.평화.민족대단결의 3대원칙을 근간으로 하는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 즉 연방제 통일론이다.

지난 80년 김일성 주석때 제시된 것이다.

김주석 사망 이후에는 조국통일 3대원칙, 전민족 대단결 10대 강령,고려민주연방제 통일방안 등을 합친 "조국통일 3대헌장"이 97년 신년 공동사설에서 처음으로 제기돼 북한의 통일방안이 되고 있다.

조국통일 3대헌장은 접촉.왕래 및 대화를 통해 남북간 접점을 찾을 수 있도록 한 점이 고려연방제 통일방안과 다르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