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천년의 꿈과 희망을 안은 증시가 4일 개장된다.

새천년의 거래가 시작되는 1월의 주가동향은 어떨까.

1월은 전통적으로 강세였다.

"1월효과(January Effect)"가 위력을 발휘하는 때가 많았다.

또 밀레니엄에 대한 기대감도 매우 높다.

지난해 마지막 거래일날엔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승세로 지난 세기를 마감한 셈이다.

이같은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어 올해 1월장은 강세를 띨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증시 환경이 우호적인 것도 낙관적인 전망을 가능케 한다.

우려했던 Y2K(컴퓨터의 2000년 인식)문제가 기우로 끝나가고 있다.

그동안 거래규모를 줄여왔던 큰 손들이 본격적으로 매매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정보통신주의 강세로 대변되는 "밀레니엄 효과"도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김대중 대통령의 신년사는 향후 강세장을 예감케 한다.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을 예정보다 앞당기고 <>벤처기업을 적극 육성하며
<>주택 50만호를 건설하겠다는 정부의 구상은 어쨌든 호재다.

따라서 1월장에서는 특별한 악재가 없는 한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문가
들은 내다보고 있다.

<>1월효과의 영향력은 =예년에 비해 클 것으로 SK증권은 예측했다.

1월효과란 연말에 주식을 팔았던 기관투자가들이 연초를 대거 주식을
사들이며 상승장을 엮어내는 것을 말한다.

실제 지난 90년이후 1월말 주가는 전년 12월말보다 5.79% 높았다.

98년에는 50.77%나 뛰기도 했다.

올해 1월효과가 예년보다 클 것이라는 근거는 두가지다.

우선 은행등 기관투자가들의 동향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은 지난해 BIS비율을 맞추기 위해 자금을 계속 거둬들였다.

그러나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큰 고비를 넘긴 만큼 이제는 금융기관도 자산을 관리해야할 시기다.

이헌재금감위원장이 "주가를 기준으로 은행의 가치를 평가하겠다"고 밝히자
저마다 주가관리에 나서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주가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적을 올려야하지만 주식을 사는 것도 한 방법이다

또 한가지 요인은 Y2K에 대한 우려가 없어졌다는 것.

Y2K는 그동안 알게 모르게 투자심리를 억눌러왔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주식매매를 내년으로 미루는 투자자들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Y2K가 큰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큰 손들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외국인 동향은 어떨까 =지난해 종합주가지수를 1,000선 위에 안착시킨
1등공신은 누가 뭐래도 외국인이다.

따라서 이들의 동향은 향후 장세에 중요한 변수다.

대우증권은 "외국인의 투자자금 유입이 마무리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아시아 경기확장에 무게를 두는 외국인이 많다고 지적했다.

연중고점을 돌파하지 못한 대만시장에 외국인들이 몰려들고 있는 게 이같은
분위기를 반증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차익매물이 나오겠지만 매수우위기조는 쉽게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어떤 종목이 오를까 =선도주인 정보통신주의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대통령은 신년사에서 정보통신사회의 구축을 조기에 달성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전달했다.

초중고등학교에 인터넷 네트워크를 깔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정부가 "국가의 네트워크화"에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뜻이다.

따라서 정보통신주의 강세기조는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은행 증권주도 상승세를 탈 전망이다.

은행은 지난해 부실채권을 털어내면서 올해 실적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추정된다.

또 증권주는 실적에 비해 낙폭이 컸고, 증시가 활황세를 보일 것이라는
점에서 강세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변수는 없나 =대신증권 나민호 투자정보팀장은 "상승의 속도를 조절하지
못할 경우 가파르게 올랐다가 월말에 조정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또 투신권의 움직임도 변수다.

1월에 만기가 돌아오는 뮤추얼펀드가 상당수에 달해 자금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증시가 강세장을 지속하면 이들 자금이 증시에 머무를 가능성도
높다.

이 경우 상승세는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 조주현기자 forest@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