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지수선물의 부산 이관여부에 대한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 같다.

김대중 대통령이 부산의 한국선물거래소 개장식에 참석하면서 어떤 형태로든
정리될 것이라는게 일반적인 관측이었다.

그러나 김대통령은 지극히 원론적인 답변만 했다.

한국선물거래소와 부산지역 상공인들의 실망하는 분위기도 역력했다.

개장하기 하루전인 22일 부산에서는 서울의 증권거래소가 주관하고 있는
주가지수선물거래를 부산으로 가져와야 한다고 신문과 방송이 계속 떠들어
댔다.

반면 서울 여의도에서는 증권거래소 노조를 중심으로 열띤 집회가 열렸다.

절대로 부산으로 이관해서는 안된다는 것이었다.

주가지수선물거래를 두고 서울과 부산이 한치의 양보도 없는 싸움을 하고
있는 것이다.

선물거래소를 서울에 두느냐 부산에 세우느냐의 입지논쟁이 1라운드라면
주가지수선물을 놓고 2라운드 싸움을 벌이고 있는 셈이다.

서울 유지론자들의 주장은 이렇다.

프로그램 매매등이 활성화되면서 주식 현물과 선물시장이 함께 움직이는데
시장을 나눈다는게 이치에 맞지 않다는 것.

또 시스템의 안전문제 등으로 외국인들이 등을 돌릴지도 모른다는게 이들의
주장이다.

반면 부산이관론자들은 정 반대의 생각을 갖고 있다.

부산이관자들은 선물거래소가 조기에 안정을 찾기 위해서는 주가지수선물의
이관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국제적 신뢰를 받기 위해서도 주가지수선물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침체에 빠진 부산경제를 회복시켜야 한다는 현실적 당위성까지 부여하고
있다.

양측의 싸움에 지역감정을 내세운 정치권마저 개입하면서 싸움의 양상은
확대되가는 국면이다.

부산에서 열린 선물거래소 개장식에 정치인만 50여명이 참석했다는게 이를
반증한다.

서울유지론자나 부산이관론자 양측의 논리는 표면적으로는 모두 자본시장의
육성과 보호를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막대한 수수료를 겨냥한 계산도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
이다.

증권거래소 입장에서는 막대한 돈을 들여 시스템을 개발한데다 주가지수선물
로 벌어들이는 돈을 쉽게 포기할 수 없는 입장이다.

반면 부산 선물거래소는 주가지수선물만 옮겨온다면 당장 올해부터 흑자를
올릴 수 있게 된다.

양측의 싸움은 쉽게 끝날 것 같지 않다.

< 조주현 기자 forest@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4월 2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