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은행들의 직상장은 한마디로 안될 말이다.

특히 일부 은행은 기업공개 요건도 충족치 못하고 있다.

투자자들이 느끼는 소감은 "길닦아 놓으니 강아지부터 지나간다"는
식이다.

"물량 공급 과다" 등의 이유로 이를 반대하자는 것은 아니다.

주식시장에도 새로운 상품이 출시되어야 하고 그래야 투자자가 모여든다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다.

문제는 은행이요 그것도 부실 은행이라는 점이다.

금융산업 개편의 와중에 은행공개부터 시켜놓고 보자는 것은 일종의
책임회피요 투자자에게 은행 부실을 떠넘기는 비열한 행위라는 지적도
있다.

말이 좋아 중소기업 지원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은행보다는 중소기업을
직접 공개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일 것이다.

3개 은행의 공개규모는 종소기업 300개를 공개할수 있는 큰 것이다.

은행이 조달해갈 자금의 비율성도 문제다.

국내 은행들은 예대마진이 3-4%에 이를 만큼 땅집고 헤엄치기 식으로
영업하고 있고 그 부담은 고스란히 중소기업들의 몫이다.

그만큼 은행의 금융중개 기능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은행의 공개는 국가 경제전체로도 환영할 일이 못된다는 말이다.

공개 요건과 관련해서 당국은 은행에 대해서는 특례 규정이 있다고 항변할
것이다.

그러나 이 예외 규정 자체부터가 문제다.

당기순이익등 공개요건을 은행이라해서 배제할 이유는 없다.

외환은행을 공개하기 위해 억지로 비틀어 놓았던 규정을 몇해나 지난
지금와서 다시 꺼낸다는 것은 놀라운 발상이다.

미국등 선진증시에서 상장 은행을 찾아보기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은행의 자금원은 주식발행 초과금이 아니라 예금이라는 점은 강조할
필요도 없다.

지방은행은 노대통령 시절 정치적 배려에 의해 태어났었다.

이들의 공개에 또다른 정치적 배려가 있는지도 알수 없는 일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