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놓고 국내외 증권가 일각에선 트럼프 수혜주와 피해주를 가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전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 예비후보 지지율이 압도적으로 높아 대선 후보로 나올 것으로 전망돼서다.
3일 미국 주요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공화당 대선 후보를 묻는 주요 여론조사에서 독주하고 있다. 지난달 월스트리트저널(WSJ) 여론조사에선 공화당 예비선거인단 59%의 지지를 받았다. 2위인 론 드산티스 플로리다 주지사를 46%포인트 앞섰다.
증권가도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다. 전날 뉴욕증시에서 신재생에너지기업 넥스트에라에너지는 8.96% 떨어진 52.15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코로나19 봉쇄조치 영향으로 세계 증시가 급락한 2020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가격이다. 관계사인 넥스트에라에너지파트너스는 이날 16.56% 급락했다. 종가 24.74달러로 최근 7년 내 최저가에 거래됐다. 이 기업의 지난 한 달간 하락폭은 48.86%에 달한다. 고금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정부의 친환경 보조금 축소 우려가 고개를 들면서 주가를 끌어내리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달 말 미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열린 집회에서 “해상 풍력터빈 때문에 많은 고래가 죽는다”며 풍력발전을 맹비난했다.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사업은 초기 비용이 높고 사업 기간이 길다. 이 때문에 차입 비용에 큰 영향을 주는 정부 보조금과 금리 변화 등에 민감하다.
전기차산업도 미 대선 판도를 주시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앞서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한 전기차 전환 정책을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주요 외신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에서 이길 경우 자동차 관련 각종 환경 규
내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놓고 국내외 증권가 일각에선 ‘트럼프 수혜주·피해주’를 가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전 미국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 미 공화당 대선 예비후보의 지지율이 압도적으로 높아 대선 후보로 나올 것으로 전망되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이차전지 등 주요 섹터 관련 사안에 대해 조 바이든 행정부와 정 반대 입장이라 증권가에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美 공화당 대선 후보 유력…신재생기업 주가 '출렁'3일 미국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공화당 대선 후보를 묻는 주요 여론조사에서 독주하고 있다. 지난달 월스트리트저널(WSJ) 여론조사에선 공화당 예비선거인단 59%의 지지를 받았다. 2위인 론 드산티스 플로리다 주지사를 46%포인트나 앞섰다. 리얼클리어폴리틱스 여론조사에선 트럼프 전 대통령이 57.6%, 드산티스 주지사는 13.7%로 집계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두 차례 열린 공화당 대선 주자들 토론엔 빠진 채 각 지역을 돌며 표심을 모으고 있다. 이미 공화당에선 경쟁자가 없다고 보고 바이든 대통령과의 대결 준비에 집중한다는 분석이다.
증권가도 이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모양새다. 전날 뉴욕 증시에서 신재생에너지기업 넥스트에라에너지는 8.96% 떨어진 52.15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코로나19 봉쇄조치 영향으로 세계 증시가 급락했던 2020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가격이다. 관계사인 넥스트에라에너지파트너스는 이날 하락폭이 16.56%에 달했다. 종가 24.74달러로 지난 7년래 최저가에 거래됐다.
브룩필드리뉴어블파트너스는 5.94% 내린 20.44달러에 장을 마쳤다. 미국 최대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인 퍼스트솔라는 3.25% 낮은 156.3
주요 해외 명품주 가격이 내리면서 국내 럭셔리 펀드 수익률도 하락세가 뚜렷하다. 주요국 경기가 둔화해 ‘큰손’ 수요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는 까닭이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글로벌 명품 관련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하나로글로벌럭셔리S&P ETF은 지난 한 달간 약 7% 내렸다. ETF 외 공모펀드도 수익률이 악화하고 있다. 같은 기간 IBK럭셔리라이프스타일증권자투자신탁은 기준가가 약 6% 빠졌다. 애셋플러스글로벌리치투게더는 4.3%, 삼성픽테프리미엄브랜드펀드는 4.5% 하락했다.
이들 펀드가 투자한 글로벌 주요 명품기업 주가는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날 스위스 증시서 리치몬트는 0.62% 내린 111.30스위스프랑에 장을 마감했다. 이 기업은 까르띠에, IWC, 바쉐론콘스탄틴 등 명품 브랜드를 산하에 두고 있다. 지난 한달간 하락폭이 11.39%, 6개월새 하락폭은 23.48%다.
같은 날 프랑스 증시에선 세계 최대 명품기업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주가가 0.21% 하락해 714.90유로에 거래됐다. 구찌·보테가베네타·생로랑 등 브랜드를 운영하는 케링은 0.60% 내린 429.30유로에 거래됐다. 두 기업은 지난 한 달간 각각 7.47%, 12.49%씩 주가가 빠졌다.
이는 명품기업들의 주요 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 수요가 오르지 않고 있는 까닭이다. 리치몬트는 지난 2분기에 미국을 비롯한 북미 지역 매출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미국은 매출액 기준 리치몬트의 단일 최대 시장이다. LVMH는 미국 매출 성장률이 작년 24%에서 지난 2분기 3%로 급감했다.
중국 시장도 소비가 둔화하고 있다. 지난 8월 기준 소매판매 증가율은 4.6%로 지난 4월(18.4%)의 4분의 1수준에 그쳤다. 리오프닝(경제 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