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몰리는 음원 IP 시장…비욘드뮤직, 2000억 추가 유치 [허란의 VC 투자노트]
음원 IP 전문 투자·매니지먼트 기업 비욘드뮤직은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프랙시스캐피탈파트너스로부터 2000억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유치했다고 31일 밝혔다. 비욘드뮤직의 누적 자산운용액(AUM)은 5000억원에 이른다.
비욘드뮤직은 2021년 말 프랙시스 등으로부터 2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2만7000곡이 넘는 국내 최대 음원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김현식, 전인권, 박효신, 성시경, 아이유, 태연 등 1990년 이전부터 2010년대까지 시대를 풍미한 가수들의 유명 음원을 확보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존 레전드의 ‘네버 브레이크’, 두아 리파의 ‘가든’, 원리퍼블릭의 ‘어팔러자이즈’ 등 글로벌 아티스트들의 음원 IP를 다수 매입하며 해외 음원 IP 시장까지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프랙시스캐피탈파트너스 관계자는 “비욘드뮤직의 음원 포트폴리오는 장르의 다양성, 보유 곡 규모, 인지도 등 어떤 기준을 적용해도 국내에서 전례를 찾기 어려운 독보적인 자산"이라며 "국내에서 이런 규모로 포트폴리오를 갖춘 기업이 다시 등장하기는 어려울 정도”라고 평가했다.
![돈 몰리는 음원 IP 시장…비욘드뮤직, 2000억 추가 유치 [허란의 VC 투자노트]](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01.31291556.1.jpg)
프라이머리 웨이브와 비슷한 사업모델
비욘드뮤직은 음원 IP 매입에만 그치지 않고, 보유 음원 IP의 가치 제고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안녕의 ‘해요’는 2001년 발매된 정인호 곡의 리메이크로 호응을 얻었으며, 라붐의 ‘상상더하기’는 SNS에서 숨은 명곡으로 화제가 되면서 차트 역주행에 성공했다.
이 같은 비즈니스 모델은 '바이 앤 빌드' 방식이다. 우량 음원 IP 카탈로그를 대규모로 매입하고, 적극적인 가치 제고 활동을 통해 보유 IP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식이다.
![돈 몰리는 음원 IP 시장…비욘드뮤직, 2000억 추가 유치 [허란의 VC 투자노트]](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01.33592154.1.png)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