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 대상 대기록…"K팝 성공 토대로 BTS 정상등극 새 역사" 2001년 김범수 빌보드 첫 인연 20년 만에 활짝 꽃핀 K팝
그룹 방탄소년단이 미국 3대 음악 시상식으로 꼽히는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American Music Awards)에서 대상 격인 '아티스트 오브 더 이어'(Artist of the Year)를 거머쥐면서 K팝 한류가 20년 만에 미국 시장에서 활짝 꽃피우며 절정기를 맞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과거 비·보아·원더걸스가 두드린 미국 시장을 '강남스타일'로 싸이가 열어젖혔다면, 방탄소년단은 올해 히트곡 '버터'(Butter)로 미국 주류 시장에 완벽하게 녹아 들어가 정상에 등극하는 새 역사를 썼다.
◇ 비·보아·원더걸스, 국내 평정 후 미국 시장 '노크'
22일 가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수가 미국 음악시장을 상징하는 빌보드 차트와 연을 맺은 것은 지금으로부터 꼭 20년 전이다.
2001년 김범수가 자신의 히트곡 '하루'의 리메이크 버전 '헬로 굿바이 헬로'(HELLO GOODBYE HELLO)'로 '핫 싱글즈 세일즈' 차트 51위에 진입한 것이다.
물론 이보다 훨씬 앞서 1981년 조용필을 비롯해 1989년 패티김, 1999년과 2010년 인순이, 2011년 이선희 등이 전 세계 음악인에게 '꿈의 무대'로 불리는 미국 뉴욕 카네기홀에서 공연을 펼친 바 있지만, 지속적인 현지 활동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2000년대 아시아를 중심으로 비, 보아, 동방신기 등이 K팝 한류 붐을 일으킨 이래 '팝의 본고장' 미국으로 눈을 돌리려는 시도가 시작됐다.
비는 2006∼2007년 미국을 포함한 월드투어를 성사시켜 '월드 스타'라는 호칭을 얻었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선정하는 '세계에서 영향력있는 100'인에 아시아 연예인으로는 처음으로 2006년과 2011년 두 차례 선정되고, 할리우드 주연작 '닌자 어쌔신'으로 미국 'MTV 무비 어워즈'에서 상을 받는 등 다방면으로 활약했다.
현지 음반 발매로 미국 직접 진출의 신호탄을 쏜 이는 '아시아의 별' 보아였다.
보아는 2008년 미국 현지 진출을 선언하고 이듬해 미국 정규 1집으로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인 '빌보드 200'에서 127위에 오르는 성과를 거뒀다.
빌보드 싱글 차트인 '핫 100'에 가장 먼저 이름을 올린 K팝 가수는 걸그룹 원더걸스다.
'텔미'(Tell Me)와 '노바디'(Nobody) 등으로 국내를 평정한 이들은 역시 마찬가지로 미국 시장 진출을 선언하고 2009년 '노바디'로 76위에 올랐다.
◇ 싸이, 美 주류시장서 새 역사…이후 K팝 '차트 인' 봇물
K팝 가수의 미국 시장 진출에 있어 신기원을 연 이는 싸이다.
싸이는 2012년 글로벌 히트곡 '강남스타일'로 빌보드 핫 100에 무려 7주 연속으로 2위를 기록하는 대기록을 쓰면서 미국 주류 시장에 처음으로 이름을 제대로 각인시킨 한국 가수가 됐다.
싸이는 이듬해 '젠틀맨'으로도 빌보드 핫 100 5위에 올랐다.
이 같은 성과를 토대로 2013년 한국 가수 최초로 미국 3대 음악 시상식 가운데 하나인 '빌보드 뮤직 어워즈'에서 '톱 소셜 아티스트' 상을 받았다.
그의 성공은 그러나 K팝 저변이 확대됐다기보다는 노래 자체의 중독성과 싸이라는 개인이 가진 코믹한 캐릭터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진 결과라는 평가가 우세했다.
이 무렵 소녀시대, 엑소, 빅뱅 등을 필두로 K팝의 인기가 아시아를 넘어 유럽과 미국 등 서구권으로 확대되면서 후배 가수들이 잇따라 미국 차트에 이름을 올리기 시작했다.
2012년 소녀시대 유닛(소그룹) 태티서, 빅뱅, 지드래곤 등과 2014∼2015년 투애니원, 소녀시대, 태양, 엑소 등 다양한 K팝 가수가 꾸준히 빌보드 200에 진입했다.
그러나 북미 음악 시장에서 K팝이 이제 막 팬덤을 키워간 시기인 만큼 주로 100위권대에 머물렀다.
그러다가 2019년부터 미국 시장 내 K팝 팬덤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슈퍼엠(1위), 몬스타엑스(5위), NCT 127(5위), 블랙핑크(24위) 등 막강한 팬덤을 갖춘 팀이 잇달아 빌보드 200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성과를 거두기 시작했다.
싱글 차트에서도 블랙핑크가 2019년 '킬 디스 러브'(41위)로 핫 100에 진입한 뒤 지난해 발표한 두 곡인 '사워 캔디'(Sour Candy)와 '하우 유 라이크 댓'(How You Like That)을 각각 33위에 올렸다.
◇ 정상 선 BTS "K팝 선배들 덕분"…가요계 "독보적으로 잘한 건 사실"
미국 주류 시장 정복에 성공하고 정상에 올라선 팀은 뭐니 뭐니 해도 방탄소년단이다.
방탄소년단은 2015년 '화양연화 파트.2'(171위)로 빌보드 200에 처음 입성한 뒤 2017년에는 '러브 유어셀프 승 허'(7위)로 10위권에 진입했다.
이들은 이듬해 '러브 유어셀프 전 티어'(LOVE YOURSELF 轉 Tear)로 국내 가수 중 최초로 빌보드 200 1위를 품에 안는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러브 유어셀프 결 앤서'(LOVE YOURSELF 結 Answer)와 2019년 '맵 오브 더 솔: 페르소나'(MAP OF THE SOUL : PERSONA), 지난해 '맵 오브 더 솔: 7'(MAP OF THE SOUL : 7)과 '비'(BE)까지 앨범 다섯 개를 잇달아 정상에 올렸다.
핫 100에서도 지난해 글로벌 히트곡 '다이너마이트'(Dynamite)로 3주 1위에 오른 이래 같은 해 '새비지 러브'(Savage Love)와 '라이프 고스 온'(Life Goes On)으로 1위를 찍었다.
올해 들어서는 '버터'로 무려 10주 연속 1위라는 대기록을 세웠고, '퍼미션 투 댄스'(Permission to Dance)와 밴드 콜드플레이와 협업한 '마이 유니버스'(My Universe)도 1위에 올려 히트에 성공했다.
그야말로 미국 음악 시장에서 '다이너마이트'처럼 인기가 폭발한 방탄소년단이 현지 팬들을 '버터'처럼 녹여버린 셈이다.
이날 AMA 대상 수상은 이 같은 방탄소년단의 위상을 단적으로 드러냈다는 평가다.
물론 방탄소년단 본인들은 2017년 빌보드 뮤직 어워즈 수상 당시 기자회견에서 해외에서의 성공을 두고 "선배들이 K팝의 길을 열어줬기에 상을 받았다"며 겸손하게 말한바 있다.
가요계 관계자들은 그렇다 하더라도 방탄소년단이 독보적인 성과를 냈다는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이라고 강조한다.
K팝과 방탄소년단이 서로 도우며 성장했다는 것이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미국에서 K팝이 어엿한 하나의 장르로 받아들여지게 되는 등 저변이 확대된 부분이 있다"며 "여기에는 방탄소년단이 독보적으로 잘한 부분이 기여했다.
AMA 대상 '올해의 아티스트' 영예…"그래미 수상 한발 더 가까이""BTS 인기 이제는 보편적 현상…K팝 위상 더 공고해져"올해 '버터'(Butter)로 전 세계 팬들의 마음을 녹인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미국의 3대 음악 시상식 중 하나인 '아메리칸뮤직어워즈'(AMA)에서 또 하나의 대기록을 썼다.BTS는 내로라하는 팝스타들만 도전할 수 있다는 AMA '올해의 아티스트'(Artist Of The Year) 부문에서 영광의 트로피를 들어 올림으로써 'BTS 현상', 'BTS 열풍'을 다시금 인정받았다.팝의 본토를 자부하는 미국 주류 음악 세계에 BTS 이름을 확실하게 새겨 넣은 것이다.임진모 대중음악평론가는 22일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1960년대 비틀스, 1970년대 엘튼 존, 1980년대 마이클 잭슨, 1990년대 너바나, 머라이어 캐리처럼 시대를 대표하는 슈퍼스타가 됐음을 만방에 고지한 것"이라고 평가했다.임 평론가는 "어느 한 곡이 갑작스레 뜬 것이 아니라 2∼3년에 걸쳐 빌보드 차트에서 사랑받고 ('아미'로 대표되는) 팬덤의 막강한 힘을 증명한 것"이라며 "세계 무대의 새로운 지배자라는 점을 확인시켜줬다"고 강조했다.김도헌 대중음악평론가는 아리아나 그란데, 드레이크, 올리비아 로드리고, 테일러 스위프트, 더 위켄드 등 쟁쟁한 후보들을 꺾고 BTS가 '대상'을 수상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김 평론가는 "올 한해 BTS가 팝 시장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는지 볼 필요가 있다"며 "'다이너마이트'의 인기가 독특한 하나의 사건이라고 봤던 사람들에게도 이제는 BTS의 인기는 '보편적'이라 할 만큼 자연스러운 현상이 됐다"고 말했다.실제로 올해 세계 팝 시장은 BTS를 빼놓고 논하기가 어렵다.'버터'는 미국 빌보드의 메인 싱글 차트인 '핫 100'에서 통산 10주간 1위를 차지하며 올해 이 차트에서 가장 많이 1위를 한 곡으로 기록됐다.빌보드 역사에서 10주 이상 1위를 차지한 곡은 '버터'를 비롯해 지금까지 모두 40곡뿐이다.여기에 더해 '퍼미션 투 댄스'(Permission to Dance), 밴드 콜드플레이와의 협업곡 '마이 유니버스'(My Universe)까지 연타석으로 '흥행 홈런'을 날리면서 글로벌 스타로서 입지를 더욱 굳혔다.BTS의 대상 수상으로 K팝 위상도 한층 더 공고해졌다는 평가도 나온다.이규탁 한국 조지메이슨대 교양학부 교수는 이번 수상을 "BTS를 K팝의 대표로 본다면 영어를 사용하는 서구권 국가가 아닌 지역에서 온 장르가 미국 시장은 물론, 전 세계에서 주류 인기 장르로서 자리를 공고히 하게 된 계기"라고 짚었다.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BTS와 K팝이 서로 연결된 점을 언급하며 "K팝이 하나의 장르처럼 여겨지게 되는 저변이 만들어졌고, BTS가 독보적으로 잘한 부분까지 상호 보완적으로 맞아떨어졌다"고 설명했다.그간 K팝 열풍을 비판적으로 바라봤던 일부 시각도 바꿀 수 있다는 게 평론가들의 설명이다.가온차트 김진우 수석연구위원은 "과거 K팝 아이돌을 비판할 때 이른바 '공장형', '팩토리 아이돌'(factory idol)이라고 한 적 있다.BTS의 이번 수상으로 K팝에 대한 인식이나 평가를 확실히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BTS가 이번 수상으로 음악계 최고 권위의 상으로 꼽히는 '그래미'에 한발 더 다가섰다는 분석도 있다.BTS는 지난 63회 그래미 어워즈에서 한국 대중가수로는 처음으로 팝 장르 시상 부문 중 하나인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후보에 올랐으나, 레이디 가가와 아리아나 그란데에게 수상의 영광을 내줬다.작년과 비교하면 올해는 음반 실적은 물론, 인기, 화제성 등 모든 부문에서 앞선 만큼 기대할 만하다는 것이다.김도헌 평론가는 "BTS는 이미 미국 (주류 음악) 시장에서 이름난 팝스타"라며 "AMA에서 '올해의 아티스트' 상까지 받은 만큼 그래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까 싶다"고 전망했다.김진우 수석연구위원은 "올해 BTS의 활동을 보면 모든 게 '그래미'를 목표로 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음원, 빌보드 기록, 최근 콜드플레이와의 협업까지 BTS의 모든 활동과 노력이 집결됐다"며 그래미 수상 가능성을 높게 봤다./연합뉴스
24일 새벽 발표되는 후보 포함 유력…"4대 본상 가능성" 전망도'마지막 한 계단만 남았다. 이제는 그래미다.'그룹 방탄소년단이 22일 '2021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American Music Awards)에서 대상 수상자로 등극하면서 미국 3대 음악 시상식 가운데 이들이 유일하게 손에 쥐지 못한 '그래미 어워즈'(Grammy Awards) 수상에도 '청신호'가 켜진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버터', 명실상부 올해 美 최고 히트곡…'제너럴 필즈' 정조준방탄소년단은 이날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AMA 시상식에서 대상 격인 '아티스트 오브 더 이어'(Artist Of The Year) 등 3관왕에 올랐다.방탄소년단은 이로써 2018년 '페이보릿 소셜 아티스트'(Favorite Social Artist)로 연을 맺은 이래 4년 연속 이 시상식에서 수상하는 기록을 썼다.한국인 가수 가운데 물론 유일한 기록이다.이러한 분위기를 타고 오는 24일 새벽으로 예정된 그래미 어워즈 후보 발표에 자연스레 가요계의 이목이 쏠린다.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방탄소년단이 그래미 어워즈도 수상한다면 그야말로 모든 것을 섭렵하는,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는 의미"라며 "미국 팝 시장에서의 방탄소년단의 위상을 정확하게 알려주는 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방탄소년단의 최고 '무기'는 올해 미국 최고 히트곡 중 하나로 꼽히는 '버터'다.이 노래는 빌보드 메인 싱글 차트인 '핫 100'에서 무려 10주나 정상을 차지해 올해 최장기간 1위곡이라는 기록도 썼다.이 때문에 지난해 후보에 이름을 올린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외에 4대 본상을 가리키는 '제너럴 필즈'(General Fields)도 노려볼 만하다는 전망이 나온다.김진우 가온차트 수석연구위원은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와 '송 오브 더 이어' 정도 2개 부문 후보를 예상한다"며 "'버터'가 10주 동안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했는데, 그 정도면 '송 오브 더 이어'에 들어갈 자격이 된다"고 지목했다.김도헌 대중음악평론가는 "방탄소년단은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후보에 들어갈 것이고, 목표치를 높게 잡는다면 '송 오브 더 이어'와 '레코드 오브 더 이어'도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그는 "수상 가능성은 간단히 말하면 반반"이라면서도 "중요한 것은 그래미 수상 자체보다 방탄소년단이 이렇게 거론될 정도로 하나의 '현상'이 됐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노래의 상업적 흥행 외에 '플러스 알파'를 요구하는 그래미 어워즈의 성향을 볼 때 올해 방탄소년단의 대외 활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리라는 분석도 있다.방탄소년단은 올해 9월에는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 모멘트' 행사에 '미래세대와 문화를 위한 대통령 특별사절'이자 세계 청년들 대표 자격으로 초청돼 연설함으로써 글로벌 차원에서 '선한 영향력'을 과시한 바 있다.◇ 작년 보수적 레코딩 아카데미에 '고배'…전화위복 되나방탄소년단에게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작곡가 세바스티앙 가르시아가 네덜란드 출신 뮤지션인 루카 드보네어에게 판매한 멜로디를 '버터'에 이중으로 사용했다는 구설에 오른 바 있기 때문이다.소속사 빅히트뮤직은 이에 대해 "권리 측면에 있어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음악성과 작품성을 중요시하는 그래미 여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반면 세계 최고의 밴드로 꼽히는 콜드플레이와 협업한 '마이 유니버스'(My Universe)로 빌보드 핫 100 정상을 따내면서 음악적 완성도라는 '마지막 퍼즐'을 끼워 맞추는 데 성공했다는 시각도 있다.다른 음악 시상식과 비교해 유독 보수적인 그래미의 성향도 변수다.그래미를 주관하는 레코딩 아카데미는 유독 비(非) 백인 아티스트에 대한 평가가 박하다는 문제 제기가 끊이질 않았다.실제로 작년 한 해 미국 대중음악계를 휩쓴 더 위켄드는 지난 시상식에서 수상은커녕 단 1개의 부문 후보에도 오르지 못해 뒷말이 무성했다.레코딩 아카데미 회원 대부분이 미국 주류 음악계의 전통적 집단으로 구성된 탓에 '새로운 선택'에 인색하다는 점은 이미 잘 알려진 바다.실제 회원 가운데 아시아 지역 비중은 10%도 채 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방탄소년단 역시 지난 시상식에서 팝 장르 시상 부문 중 하나인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후보에 올랐으나, 세계적 스타인 레이디 가가·아리아나 그란데에게 수상의 영광을 내준 바 있다.그러나 그래미 어워즈 측이 이 같은 비판에 직면하자 소수 비밀 위원회가 아니라 레코딩 아카데미 회원 전체 투표를 통해 후보를 선정하기로 한 점은 긍정적인 요소다.지난 시상식의 수상 실패가 전화위복이 돼 한국을 넘어 아시아 아티스트로서 '일'을 낼 수도 있다는 것이다.김진우 가온차트 수석연구위원은 "레코딩 아카데미가 워낙 보수적이다 보니 1년 정도 방탄소년단을 '묵혔다가' 상을 주지 않겠나 싶었다.그 1년 뒤가 바로 이번 시상식"이라며 "방탄소년단의 소속사는 사실 올해 그래미를 겨냥해 모든 활동을 진행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방탄소년단 본인들도 같은 꿈을 꿀 것이고, 모든 노력이 집결됐다고 본다"고 말했다.제64회 그래미 시상식은 내년 1월 31일, 한국 시각으로는 2월 1일 열린다./연합뉴스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22일 미국 3대 음악 시상식인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AMA)에서 대상을 받으며 3관왕에 올랐다.방탄소년단은 이날 미국 로스앤젤레스 마이크로소프트 시어터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대상에 해당하는 '아티스트 오브 더 이어'를 받았다. 아시아 아티스트가 AMA에서 대상을 받은 것은 방탄소년단이 최초다.이날 방탄소년단은 '아티스트 오브 더 이어' 외에도 '페이보릿 팝 듀오 오어 그룹'과 '페이보릿 팝송' 부문에서도 트로피를 거머쥐는 데 성공했다..'페이보릿 팝 듀오 오어 그룹'을 수상한 뒤 방탄소년단 멤버 진은 아미를 향해 "여러분은 우리의 우주(Universe)"라고 말했고 RM은 '페이보릿 팝송'을 받은 뒤 "이 어려운 시기에 많은 이들에게 우리의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고 싶었다"고 했다.방탄소년단은 이날 시상식에서 콜드플레이와 '마이 유니버스' 합동 무대를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