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성 촬영감독 "환경 더 좋아졌지만…못하는 후배들 반성해야" 일침[BIFF]
정일성 촬영감독이 후배들에게 쓴 소리를 했다.

정일성 촬영감독은 4일 부산시 해운대구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문화홀에서 진행된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회고전 주인공 발탁 기자회견에서 "요즘은 과거에 비해 검열도 없고, 좋은 기기를 쓰는데 당연히 좋아져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 거 같다"고 일갈했다.

앞서 부산국제영화제는 정일성 촬영감독의 대표작 '화녀', '사람의 아들', '최후의 증인', '만다라', '만추', '황진이', '본 투 킬' 등 7편을 한국영화회고전으로 선정했다. 한국영화를 대변해 온 동시대의 대표 감독들과 수없이 많은 작업을 해오며 한국영화의 촬영 미학을 이끄는 선구자 역할을 해온 공로를 인정받은 것.

정일성 촬영감독은 한국영화의 역사를 일궈온 장인이자 자신만의 독특한 촬영 세계를 구축한 촬영의 대가다. 1957년, 20대 후반의 젊은 나이에 조긍하 감독의 '가거라 슬픔이여'(1957)를 통해 촬영감독으로 입문했다. 김기영 감독의 '화녀'(1971)에서는 그만의 파격적인 앵글과 색채 미학을 선보이며 그로테스크한 세계를 구축했으며, 이두용 감독의 '최후의 증인'(1980)에서는 사계절을 담기 위해 1년 이상 촬영하는 열의를 보이기도 했다.

'신궁'(1979)으로 임권택 감독과 처음 조우한 그는 '만다라'(1981)로 정일성 미학의 정점을 찍게 된다. 당시 한국영화에선 만나기 힘든 미장센과 시퀀스로 베를린국제영화제 본선에 진출한 첫 한국영화라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이후 '서편제'(1993), '취화선'(2002) 등 임권택 감독 대부분의 작품에서 카메라를 잡으며 오랫동안 명콤비로 활약했다.

정일성 촬영감독은 "해방 이후 1955년부터 일을 배웠고, 1957년에 데뷔를 했다. 일제시대, 해방 이후 6.25, 그리고 지금까지 큰 격변을 겪었다"고 과거를 돌아봤다.

그러면서 "일제시대엔 역사적으로 핍박받았지만 '아리랑'과 같은 명작이 탄생했다. 영화를 통해 항거한다는 정신으로 '아리랑'이 탄생했다는 것은 후배들에게 정신무장을 하게하는 원동력이 됐다. 해방 이후엔 처참했다. 영화를 만들 수 없는 상황이었지만 맥을 유지하며 한편 한편씩 만들었다. 명작은 아니라도 정신적으로 우리에게 엄청난 에너지를 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6.25 이후엔 엄청난 영화적 진화가 진행됐다. 포르노 같은 영화, 중국 아류의 영화로 맥을 유지하고 필름이 사치품으로 분류돼 수입이 안 돼 미군에 가서 필름을 사서 써야했다. 그런 열악함 속에서 영화 역사가 이어져왔다"며 "이런 것과 비교하면 지금 영화를 하는 영화인들은 행복한 시대, 행복한 기자재를 통해 표현의 자유 속에 영화를 만들고 있지 않을까 싶다. 영화의 질이 당연히 더 좋아져야 한다"면서 쓴 소리를 했다.

또 디지털 시대로 급변하면서 필름이 골동품 취급 당하는 현실에 대해서도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정일성 촬영감독은 "영화를 배우는 학생들도 필름도 건너뛰고 디지털로 간다고 하고. 그래서 필름을 하는 사람들이 골동품 취급 당하기도 한다"며 "디지털을 하더라도 아날로그 과정을 완벽하게 이수하지 않으면 좋은 작품을 할 수 없다. 그걸 건너 뛴 작업물은 뭔가 아쉽다. 필름을 했던 사람들은 기술적이고 과학적인 부분으로 완성된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일성 감독 회고전은 오는 12일까지 부산국제영화제를 통해 선보여진다.

부산=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