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영화 '나랏말싸미' 스틸
/사진=영화 '나랏말싸미' 스틸
세종이 한글을 만들었다는 사실을 모르는 국민이 있을까. 하지만 세종이 어떻게 한글을 만들었냐는 질문엔 여러 답이 나온다. 영화 '나랏말싸미'는 한글 창제의 여러 가설 중 하나를 소재로 한 작품이다.

숭유억불(崇儒抑佛). 조선을 이끈 사회 기조였다. 조선 왕조를 통틀어 최고의 성군이자 학자로 꼽히는 세종 역시 '억불정책'을 펼쳤다. 그런 세종이 한글 창제를 위해 신미 스님과 손을 잡았다. 백성 모두에게 이로운 글자를 만들기 위해 역사에도 기록할 수 없었던 이들의 숭고한 만남을 스크린에 담아냈다.
/사진=영화 '나랏말싸미' 스틸
/사진=영화 '나랏말싸미' 스틸
한글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글자는 권력이었다. 문자를 아는 소수의 남자들이 지식과 부를 독점했고, 다수의 백성들은 글을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는 것이 부지기수였다.

세종은 이런 백성들을 위해 우리만의 글자를 만들기로 결심했다. 기득권을 가진 신하들의 반대도 반대였지만 중국의 각종 언어학 서적을 섭렵했음에도 새 문자의 실마리조차 잡지 못하는 현실이 그를 더욱 괴롭게 했다.

하지만 엉뚱하게도 새 문자의 단서는 불교의 유산인 팔만대장경 안에 있었다. 세종이 스님인 신미와 손을 잡은 이유도 소리 글자인 산스크리트어에 능통했기 때문이었다.

영화는 산스크리트어를 통해 소리 글자의 이치를 깨달은 세종이 신미와 함께 쉽고 간단한 한글을 만드는 과정에 집중했다. 우리 말을 모으고 분류하면서 세상의 모든 소리를 담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함께 고민했다.
/사진=영화 '나랏말싸미' 스틸
/사진=영화 '나랏말싸미' 스틸
애민정신으로 글자를 만들려는 사람들과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반대하는 자들, 갈등구도는 평범하다. 하지만 조철현 감독은 자극적이고 인위적인 드라마틱한 상황을 연출하기보다는 위대한 임금으로서의 세종, 그리고 백성을 이롭게 하는 글이 오래 살아남길 바라는 신미,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한글에 새 생명의 불꽃을 불어넣은 소헌왕후에 집중했다. 이들의 관계를 묵직하게, 때론 유머러스하게 풀어가면서 관객들의 몰입도를 끌어 올렸다.

또한 각 인물들의 인간적인 면모에 집중했다. 아버지가 역적으로 몰려 죽임을 당했어도 궁을 지켜야 했던 비운의 소헌왕후, 사랑하는 아내를 지켜주지 못하지만 백성을 위한 길을 끊임 없이 고민해야 했을 세종이 느낀 무기력, 이들의 속내를 솔직하고 담담하게 펼쳐 보이는 대사는 관객들에게 울림을 선사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모든 것들을 가능토록 한 것은 배우들의 명연기였다. '나랏말싸미'를 위해 산스크리트어를 따로 배웠다는 배우 박해일, 고인이 됐지만 스크린에선 누구보다 아름다웠던 배우 전미선은 우리가 몰랐던 한글 창제의 비밀스러운 과정을 전하는데 부족함이 없었다.
/사진=영화 '나랏말싸미' 스틸
/사진=영화 '나랏말싸미' 스틸
무엇보다 극을 이끌어가는 세종 송강호의 연기는 압도적이다. 앞서 '사도'에서 영조를 연기한 탓에 "같은 연기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는 기우에 불과했다. 중국과 일본 속에 끼인 국제 정세와 드센 신하들 속에서 고군분투하면서도 자신의 의지를 밀고 나가는 군주이자 다정한 남편이었던 세종의 인간적인 모습은 송강호가 아니었다면 완성해낼 수 없었을 것이란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이미 여러 드라마, 영화를 통해 선보여진 세종이라는 인물을 다시 선보여야 한다는 부담감도 컸을 테지만 송강호는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이미지를 창의적으로 깨트리는 게 배우의 임무"라며 자신만의 세종을 창조했다.

화려한 볼거리나 기교 없이 이야기와 메시지에 집중한 '나랏말싸미'다. 올 여름 블록버스터 대작들의 대결에서 첫 단추를 끼우는 '나랏말싸미'에 관객들이 어떤 평가를 보낼지 지켜볼 일이다. 오는 24일 개봉. 상영시간 110분. 전체관람가.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