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삭은 맛…때론 시간이 맛을 내는 최고의 조리사
이른바 ‘쿡방’ ‘먹방’의 시대다. TV만 켜면 음식을 만들고 먹는 장면이 넘쳐난다. 방송에서 음식만큼 시청자를 자극하고 매료시키는 소재가 없다. 맛난 음식을 클로즈업해 보여주고 맛있게 먹는 장면은 그대로 욕망을 자극한다. 한때 이런 음식 프로그램들은 ‘푸드 포르노’라는 악명을 얻기도 했다.

곰삭은 맛…때론 시간이 맛을 내는 최고의 조리사
최근 들어 쿡방과 먹방이 많아진 건 이런 자극보다는 도시인의 삶과 무관하지 않다. 바쁜 삶에서 이런 프로그램들은 뚝딱 해서 먹거나 맛있는 음식점을 찾아 한 끼를 해결하는 정보를 알려준다. 때론 힘든 일상에서 스스로에게 작은 힐링도 제공한다. 1인 가구가 늘어나고 핵가족화하면서 부모로부터 자연스럽게 터득하던 요리 노하우는 명맥을 잇기 어려워졌다. 그 대신 현대인은 인터넷에서 갖가지 레시피를 뒤져본다. 레시피를 봐야 비로소 요리가 되고, 레시피를 찾는 데 시간을 보내는 ‘레시피홀릭’도 음식 프로그램만큼 많아졌다.

이런 시대에 KBS ‘한국인의 밥상’은 이례적인 음식 프로그램이다. 2011년 시작할 때만 해도 지방을 찾아가 제철음식을 소개하는 또 하나의 음식 프로그램이 아닌가 오해되기도 했다. 하지만 ‘한국인의 밥상’은 거창한 제목이 허명이 아니라는 걸 지난 5년간 증명해왔다. ‘한국인의 밥상’에서만 느껴지는 곰삭은 맛이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27일 제작진이 찾은 곳은 ‘서해의 곳간’이라 불리는 충남 홍성이다. 이 가을 홍성에서 우리가 떠올리는 건 게, 새우, 낚지, 돼지고기 같은 식재료들이다. 고정 출연자인 최불암은 어김없이 오프닝에 등장해 풍요의 땅 홍성을 소개하고 새우잡이배에 직접 올라 갓 잡은 튼실한 새우를 그대로 살만 발라내 맛보는 모습을 보여준다. 새우젓이 익어가는 광천 토굴로 들어가 분홍빛의 새우젓도 소개한다. 그 긴 토굴이 순전히 정과 망치로 무려 4년간 장정들이 조금씩 뚫어 만들어냈다는 이야기도 들려준다. 천수만의 지형적 이점 때문에 새우가 많이 나고, 그 새우를 이용한 음식과 사람의 손이 깃들어 만들어지는 광천토굴 새우젓 같은 재료가 생겨났다는 얘기가 물 흐르듯 이어진다. 음식이 지역의 특성, 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직접 연결돼 있다는 걸 자연스럽게 그려낸다.

‘한국인의 밥상’이 여타 음식 음식 프로그램과 달리 깊은 맛을 내는 것은 그 지역의 사람과 음식이 서로 닮아 있다는 걸 발견해내기 때문이다. 젊을 때 술을 많이 마셔 아내 속을 깨나 썩였다는 한 어르신이 이제는 아내를 위해 뭐든 하는 살가운 모습을 보여준 다음 노을이 지는 갯벌로 옮겨진 화면에 최불암의 내레이션이 얹힌다. “때론 시간이 맛을 내는 최고의 조리사입니다. 오래 한 솥에서 끓다 보면은 서서히 간이 맞고 감칠맛도 생기죠. 잘 곰삭은 새우젓처럼 시간이 흐를수록 더 깊어지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나는 음식과 그걸 먹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겹쳐 놓는다. 추수가 끝나고 나면 물을 뺀 둠벙에서 물고기를 잡아오곤 했다는 남편에 맞춰 동네에서 어탕국수의 일인자가 돼 한바탕 동네잔치를 벌이는 아내의 모습이 그렇다. 한국인의 밥상은 그 지역 사람들의 먹거리 보고서이자 그걸 먹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보고서다.

먹방, 쿡방이 쏟아내는 음식들 속에서 채워지지 않는 건 아마도 ‘시간’이 아닐까. 음식은 단지 눈앞에 있는 재료를 갖고 만들어내는 먹거리가 아니라 세대에서 세대로 시간의 더께를 얹어가며 쌓인 삶의 지혜가 아닐지. ‘한국인의 밥상’이 내놓는 음식들이 색다르게 다가오는 건 바로 그 음식을 통해 쌓인 사람들의 시간이 곰삭아 있기 때문이다.

정덕현 < 대중문화평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