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도입되는 민영 미디어렙(방송광고 판매대행사)의 업무 영역을 지상파에 국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간접광고(PPL)는 영향력이 약한 케이블방송부터 도입해 지상파로 확대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전종우 단국대 언론영상학부 교수는 한국언론학회 광고연구회가 23일 서울 잠실 광고문화회관에서 개최한 '미디어렙 도입 어떻게 할 것인가?'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전 교수는 미디어렙 업무 영역을 지상파 외 이종매체로 확대할지에 대한 논란과 관련해 "현재 국내 방송광고 시장 상황을 감안하면 방송광고의 경쟁 판매 초기에 혼란이 예상된다"며 "초기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디어 업무 영역을 개방하는 문제는 점진적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초반부터 지상파 미디어렙에 매체 영역을 허물게 되면 지상파 미디어렙은 다른 매체에 접근 가능한 반면 다른 미디어렙은 지상파에 대한 접근이 차단돼 불공정한 경쟁이 초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초기에는 지상파에 국한하다 3~4년 후 케이블TV와 온라인 등 뉴미디어로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전 교수는 강조했다.

전 교수는 또 "모든 미디어에 가상광고와 간접광고를 허가하면 미디어 독점이 심화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며 "상대적으로 열세에 있는 케이블 등에 먼저 도입한다거나 지상파에 비해 좀더 완화된 규제를 적용받을 수 있도록 차등 규제를 통해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지상파 공영방송이 수신료 인상으로 재정문제를 해결할 경우 간접광고와 중간광고를 도입할 논리적 근거도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함께 발제에 나선 최형우 한국인터넷마케팅협회 회장은 "최근 미디어법 통과로 인해 방송시장에 새로운 매체가 출현하고 이로 인한 광고 수주 경쟁은 더욱 격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은 또 "현재 국내 광고시장 규모로 볼 때 새로운 광고 수요 및 시장이 개척되지 않는 한 개별 매체들의 생존을 위한 수익 모델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미디어렙 도입의 선결과제로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의 명확한 구분이 필요하며 매체 균형발전을 위해 공영방송의 광고매출 비중을 축소할 필요가 있다고 최 회장은 주장했다. 그는 또 공영방송 광고는 점차 감소토록 유도해 지금보다 20% 이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

◆민영미디어렙이란

방송사를 대신해 광고주에게 광고를 팔고 수수료를 받는 방송광고 판매대행사를 일컫는다.

지난해 헌법재판소가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와 KOBACO가 출자한 회사만 지상파 방송광고 판매대행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한 방송법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림에 따라 정부가 방송광고 시장의 경쟁체제 도입을 위해 허용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