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년간 한반도에는 화해 분위기가 지속돼 왔다. 이에 따라 통일한국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사회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한국보다 앞서 평화통일을 이룬 독일은 통일시대 대비를 위해 참고할만한 좋은 사례다. 'EBS 통일진단'(29일 오후 9시20분,1월5일 오후 9시20분)은 독일의 사례를 통해 한반도 통일 이후의 현실적 문제들을 점검해보는 프로그램이다. 12년 전,구 서독 체제로의 일방적인 편입 이후 통일독일은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이제 독일은 동독이나 서독이 아닌 새로운 모델을 찾고 있다. 그 상징적인 예가 1부 '미완의 통일독일 실험장,레벤스굿을 가다'에서 소개할 작센주의 공동체 '레벤스굿'이다. 수도 베를린과 세 시간 거리에 있는 작은 마을 폼리츠에 자리잡은 생활공동체 레벤스굿에서는 구성원들이 야채와 빵 등 식생활용품의 60%를 자체생산한다. 공동체에서 필요한 물건은 공동으로 구매해서 창고에 모아놓고 사용한다. 함께 일해서 벌고,그 결과물을 공동으로 소유하고 나눠갖는 것이다. 이들은 또 일주일에 한번 구성원 전체가 모여서 회의를 한다. 대화와 민주적인 방식을 통해 의사를 결정하는 회의다. 공동체 안에서 살지만 각자의 다양한 의견과 삶을 존중하는 이들은 통일 독일에 새로운 길을 제시하고 있다. 2부 '시장을 배워가는 동독 사람들'은 사회주의에 익숙해진 구 동독인들의 실업문제에 대해 집중 분석한다. 사회주의 시절,직장도 당이 정하는 대로 다니던 동독 젊은이들은 자신이 직접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는 사실에 당황했다. 비록 자본주의 사회인 서독체제로 편입되기는 했으나,사회주의 시절의 자부심도 완전히 버릴 수는 없었다. 독일은 실업 문제를 서독의 직업교육 제도로 해결하려 하고 있다. 독일의 학생들은 초등학교 4학년 때 대학에 진학할 것인지,취업을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취업하기로 결정하면 직업학교에서 교육을 받는다. 회사에서는 최첨단 시설과 장비로 실습을 돕는다. 졸업 후에는 바로 그 회사로 취업한다. 이런 제도를 어떻게 구 동독인들에게 이식하느냐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