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의 암'인 정신분열증은 환각과 망상에 기인한다. 환각은 물리적 자극이 없는데도 환영과 환청을 경험하는 상태다. 하지만 일반 신경증 환자에게도 나타난다. 문제는 환영과 환청을 사실로 확신하고 잘못된 믿음을 갖는 망상이다. 분열증환자들은 환각과 망상을 동시에 겪는다. 정신분석학자 라캉에 따르면 '한번 정신병은 영원한 정신병'이다. 증상완화는 기대할 수 있어도 발병의 심적구조는 죽을 때까지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다. 영화 '뷰티풀 마인드'(론 하워드 감독)는 정신분열증과 평생 투쟁하면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천재수학자 존 내쉬(1928~)의 일대기를 감동적으로 그린 수작이다. 지난달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작품상, 남우주연상, 여우조연상, 각본상을 휩쓸었다. '글래디에이터'의 영웅 러셀 크로가 천재 내쉬의 심적 방황과 고통을 심도 있게 표현했다. 존 내쉬는 프린스턴 대학시절인 1949년 발표한 '내쉬균형' 이론으로 지난 94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그는 학창시절 수학자들이 '해결불가능'이라는 난제들을 독창적 방식으로 풀어낸 천재였다. 숫자감각은 신이 탄복할 만큼 탁월했다. 그러나 '인간관계의 함수'에는 갓난 아기처럼 서툴렀고 정신병은 그를 '프린스턴대의 유령'으로 방황토록 만들었다. 영화는 그의 업적보다 이 점에 주목한다. 내쉬는 오만하고 자기몰입적인 성격으로 그려진다. 친구의 논문을 '상투적'이라고 면박하고 초면의 여학생에게 '빨리 체액을 나누자'고 말해 따귀를 맞기도 한다. 강의를 빼먹고 비둘기가 몇 차례나 머리를 조아리는지 헤아리고, 기숙사 유리창을 칠판 삼아 '문제풀기'에 골몰한다. MIT 교수 시절, 그의 분열증은 시작된다. 위대한 독창적 이론을 찾아내려는 '과도한 욕망'에서 비롯된 스트레스가 병인(病因)이다. 영화속에서 세 사람이 그의 주변을 늘 배회한다. 구소련의 핵무기 기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암호해독을 주문하는 미 정부의 비밀요원 파처(애드 해리스), 내쉬와 우정을 나누는 대학 룸메이트 허만(폴 베타니), 허만의 어린 여조카 등이다. 사실 이들은 내쉬의 눈에만 보이는 환영이다. 파처는 내쉬의 명예욕을 대변한다. 위대한 학자라면 '국가안보'의 위대한 일을 해야 한다는 내쉬의 강박이 빚어낸 인물이다. 허만은 내쉬에게 결여된 '보편적인 인간성'을 상징한다. 허만은 '왕따' 내쉬를 '무뚝뚝한 천재'로 인정해 주고, 책상머리에서 끌어내 일탈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허만의 어린 여조카는 아들에 대한 죄의식을 사면받고픈 내쉬의 욕망이다. 그는 분열증으로 갓난 아들을 물속에 처박고 꺼내지 않아 익사시킬 뻔했다. 내쉬가 이들의 말에 귀 기울일수록 정신분열 증세는 악화된다. 그러나 내쉬는 아내 알리샤(제니퍼 코넬리)의 헌신적 도움으로 '환영과의 대화'를 그만두고 대학에서 연구에 매진한다. 마침내 논문발표뒤 거의 반세기가 지난뒤 영예의 노벨상을 받게 됐을 때도 환영들은 주변에 서성댄다. 내쉬의 단호한 거부의지 때문에 다가오지 못할 뿐. 영화는 내쉬가 정신병을 의지로 이겨낸 '인간승리'의 표본임을 부각시킨다. 하지만 '뷰티풀 마인드'란 타이틀은 아내 알리샤의 몫으로 돌린다. 그녀는 내쉬가 평생동안 풀지 못한 '사랑의 방정식'을 가르쳤다. 알리샤는 젊은 시절 내쉬에게 데이트를 신청했고, "우리 관계가 장기간 유지되도록 보장할 수 있는 증거가 필요하다"는 내쉬의 '엉뚱한' 청혼을 넉넉한 마음으로 받아들였다. 그가 분열증을 앓고 있을때도 끝까지 곁을 지켰다. '파앤어웨이'를 연출했던 론 하워드 감독은 여기서 환영들에게 생명을 불어넣고 스릴러형식으로 드라마를 전개함으로써 관객들의 시선을 시종 붙드는데 성공했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 ----------------------------------------------------------------- < 내쉬균형 (Nash equilibrium) > 보통 게임에서 균형이란 각 게임참여자들이 어떤 전략을 선택해 하나의 결과가 나왔을 때 모든 게임참여자들이 이에 만족하고 더이상 전략을 변화시킬 의도가 없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쓰는가에 상관없이 항상 선택되는 전략을 애덤스미드의 균형이라 부른다. 다시 말해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쓰는가에 상관없이 항상 선택되는 전략으로 현실에서는 이런 형태의 균형의 예는 상당히 드물다. 반면 내쉬의 균형은 다른 게임 참여자들이 취하는 전략을 기초로 자신의 이익이 최대가 되도록 행동하고 또한 이것이 모든 게임참여자들에게 최대한 이익을 가져다 줄 때를 말한다. 이를 테면 어떤 게임의 참여자 A의 전략 a와 다른 게임참여자 B의 전략 b가 있다고 하자. 만약 B가 전략 b를 썼을 때 전략 a가 A의 입장에서 최적전략이며 동시에 A가 a의 전략을 썼을 때 전략 b가 B의 입장에서 최적전략이라면 a와 b의 조합을 내쉬균형繭箚?부른다. 즉 내쉬균형은 상대방의 최적전략에 대한 본인의 최적전략이라는 성격을 갖는다. 한상춘 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