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보다 ''조국''을 선택하는 테마는 고전영화의 해묵은 관습이다. 그러나 가상역사의 틀에서 이같은 주제를 다룬 사례는 적어도 한국영화에선 없었다. 이시명 감독의 데뷔작 ''2009 로스트메모리즈''는 ''2009년 한반도는 일본의 식민지''란 가정에서 출발한 이색적인 SF물이다. 복거일의 SF소설 ''비명을 찾아서''에서 제기된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 암살에 실패했다면...''이란 모티브를 차용해 한.일간의 박진감있는 대결을 통해 민족주의를 고취시키는 내용이다. 올해 첫 SF물인 이 영화가 비교적 완성도 높게 마무리됨에 따라 제작중인 SF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아유레디'' 등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배경은 2009년 일본의 식민지 경성(서울). 광화문 자리에는 조선총독부가, 이순신 장군 동상 대신 도요토미 히데요시 상이 버티고 있고 거리의 모든 사람들은 일본말을 사용한다. 그동안 2002년 일본 월드컵, 1988년 나고야 올림픽, 1945년 베를린 원폭투하, 1919년 파고다공원의 불법집회 무산(3.1운동) 등 가상의 역사를 거쳐 왔고 꼭 1백년전인 1909년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의 암살을 시도한 안중근은 현장에서 사살된 것으로 설정됐다. 영화의 도입부는 경성에서 열린 한국 유물전시전에서의 총격전 장면이다. 일본 연방 수사국의 조선계 형사 사카모토 마사유키(장동건)와 그의 일본인 친구 쇼지로(나카무라 도루)가 이끄는 일본경찰들이 조선의 지하독립운동단체 ''후레이센진(不逞鮮人)''을 진압한다. 사카모토는 이들의 테러가 남긴 의문점을 수사하면서 역사의 진실에 한걸음씩 다가선다. 사카모토가 한국인의 정체성을 획득할수록, 또 쇼지로가 일본인이란 정체성을 확인할수록, 한.일간의 대결구도는 선명해진다. 일본 경찰이 후레이센진 아지트를 습격한 장면은 그 절정이다. 장동건 앞에서 후레이센진의 어린 꼬마가 총탄에 숨지는 ''참극''과 어린 딸을 안고 불꽃놀이를 구경하는 쇼지로의 ''행복''이 교차되는 모습은 민족주의를 한껏 고취시키는 역할을 한다. 식민지 한국과 제국주의 일본의 현주소가 압축돼 있다. 엄청난 물량을 쏟아부은 총격전은 강렬한 사운드효과와 겹쳐 박진감 있다. 경찰 복장과 총기 등은 ''첨단''이다. 하지만 ''가까운 미래''라는 설정 때문에 미래적인 환경을 찾기는 쉽지 않다. 작품은 오히려 등장 인물들에 얽힌 감정의 실타래를 풀어 가는데 초점을 맞췄다. 두 형사간의 우정, 반군 소속의 여전사 오혜린과 사카모토의 사랑, 후레이센진에 매수돼 동료의 총에 맞아 숨진 사카모토 아버지에 대한 애증 등이 드라마를 떠받친다. 그러나 ''영웅본색''의 오우삼식 스타일을 연상시키는 슬로모션 장면이 지나치게 도입돼 감독이 감정을 절제하지 못한 점은 아쉽다. 장동건이 숨져가는 꼬마를 지켜보는 모습이 슬로모션으로 반복 처리되는 것이 대표적 사례다. 일본인으로 살기 원했던 장동건이 한국인편에 서게 되는 ''터닝포인트''이지만 시간이 지나치게 길고 연출자의 의도가 미숙하게 드러난다. 또 전체 장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장동건의 미숙한 일본어 연기도 일본관객을 사로잡기는 어려울 것이다. 1일 개봉. 12세 관람가.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