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경 금통위원 "원·달러 환율, 팬데믹 이전으로 내려가기 어렵다" [강진규의 외환·금융 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영경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2일 "원·달러 환율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기 어려울 전망"이라고 밝혔다. 팬데믹 이후 환율 변동 요인이 다양해지면서 환율 하락이 쉽지 않아졌다는 것이다.
서 위원은 이날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BOK 콘퍼런스'에 패널로 참석해 이같이 발표했다. 서 위원은 환율이 상승하고 변동성이 커진 이유로 "미 달러화 강세라는 글로벌 요인과 한국의 무역수지 흑자 축소, 해외투자 증가 등의 고유요인"을 꼽았다. 또 "경기 요인뿐만 아니라 대중국 경쟁심화, 인구 고령화, 기업·가계의 해외투자수요 확대 등 구조적 변화가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존의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는 약화된 것으로 평가했다. 과거엔 환율이 오르면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지만 최근엔 수출입 가격의 달러표시가 확대되고 중간재·에너지의 높은 수입의존도 등으로 인해 원화가 절하되더라도 이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자본이동을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는 강화된 것으로 평가됐다. 서 위원은 "작년 이후 해외주식투자 유출규모가 축소되고 작년말 관련 법 개정 이후 해외투자의 배당금 유입이 확대되고 있는 점은 원화절하 압력을 완화하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원화 약세에도 자본유입 감소 위험은 크지 않다고 봤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부문의 단기외채 감소와 민간의 대외자산 증가에 힘입어 우리 경제의 통화불일치(currency mismatch) 문제가 크게 완화 되었기 때문이다.
원화가치 하락이 물가에 전가되는 효과는 과거에 비해 커진 것으로 추정됐다. 다른 수요와 공급 충격이 중첩돼 발생한 점을 감안해 내린 결론이다.
서 위원은 "국내 물가안정과 금융안정 간 균형을 놓고 고민하던 각국 중앙은행이 팬데믹 이후 대외부문 안정까지 세 부문 균형을 이뤄야하는 트릴레마에 직면했다"며 "한국처럼 자국통화가 국제화되지 않은 국가의 경우 건전한 거시경제정책과 외환시장 안정화 정책을 병행하는 통합적 정책체계 (integrated policy framework)가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서 위원은 이날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BOK 콘퍼런스'에 패널로 참석해 이같이 발표했다. 서 위원은 환율이 상승하고 변동성이 커진 이유로 "미 달러화 강세라는 글로벌 요인과 한국의 무역수지 흑자 축소, 해외투자 증가 등의 고유요인"을 꼽았다. 또 "경기 요인뿐만 아니라 대중국 경쟁심화, 인구 고령화, 기업·가계의 해외투자수요 확대 등 구조적 변화가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존의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는 약화된 것으로 평가했다. 과거엔 환율이 오르면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지만 최근엔 수출입 가격의 달러표시가 확대되고 중간재·에너지의 높은 수입의존도 등으로 인해 원화가 절하되더라도 이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자본이동을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는 강화된 것으로 평가됐다. 서 위원은 "작년 이후 해외주식투자 유출규모가 축소되고 작년말 관련 법 개정 이후 해외투자의 배당금 유입이 확대되고 있는 점은 원화절하 압력을 완화하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원화 약세에도 자본유입 감소 위험은 크지 않다고 봤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부문의 단기외채 감소와 민간의 대외자산 증가에 힘입어 우리 경제의 통화불일치(currency mismatch) 문제가 크게 완화 되었기 때문이다.
원화가치 하락이 물가에 전가되는 효과는 과거에 비해 커진 것으로 추정됐다. 다른 수요와 공급 충격이 중첩돼 발생한 점을 감안해 내린 결론이다.
서 위원은 "국내 물가안정과 금융안정 간 균형을 놓고 고민하던 각국 중앙은행이 팬데믹 이후 대외부문 안정까지 세 부문 균형을 이뤄야하는 트릴레마에 직면했다"며 "한국처럼 자국통화가 국제화되지 않은 국가의 경우 건전한 거시경제정책과 외환시장 안정화 정책을 병행하는 통합적 정책체계 (integrated policy framework)가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