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통신 "부채 탕감 주저·비밀 강요…다른 나라 지원도 못 받아"
"경제적 붕괴에 내몰리는 10여개 빈국…배후에 중국 차관"
지난해 경제난에 시달리던 스리랑카에서는 분노와 좌절감을 느낀 시위대가 대통령궁을 습격하는 일이 벌어졌다.

당시 격렬한 시위로 국가 재정에 짐이 되는 계약을 중국과 한 고타바야 라자팍사 스리랑카 대통령이 타국으로 도피하는 일마저 일어났다.

50만개의 일자리는 사라지고 인플레이션은 50%가량 치솟으면서 인구의 다수가 빈곤의 나락에 빠졌다.

이처럼 10여개의 가난한 나라가 막대한 외채 때문에 경제적 불안정성이나 심지어 붕괴에 직면해 있으며, 외채의 많은 액수가 중국에서 온 것이라고 AP통신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AP통신은 파키스탄과 케냐, 잠비아, 라오스 등 중국 차관에 가장 시달리는 이들 나라의 수천억 달러 규모의 외채를 분석한 결과라며 이같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 나라는 조세 수입이 부족해 학교 유지와 전기 공급, 식품과 연료비 지불 등 기본적인 국가 운영을 외채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 사정에서 외채 이자를 겨우 갚으며 붕괴를 모면하는 경제 구조 탓에 외화보유액은 빠져나가는 실정이다.

AP통신은 이들 나라가 이렇게 어려운 데는 배후에 중국이 있다고 짚었다.

중국은 부채 탕감을 주저하면서도 채무 규모나 조건 등에 대해 엄격한 비밀주의를 택해 다른 주요 나라들이 지원에 나서는 것조차 막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채무국들에 대해 비밀 에스크로(결제 대금 예치) 계정에 현금을 두도록 의무화해 결국은 자국을 채권자 명단의 1순위에 올리기도 한다.

또 중국 차관은 채무국 정부에 직접 전달되기보다는 해외 페이퍼컴퍼니들을 거치는 만큼 채무국 장부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내용도 폭로된 바 있다.

결국 이들 가난한 나라 중 잠비아와 스리랑카는 항만과 광산, 발전소 건설에 투입된 차관의 이자조차 갚지 못해 이미 채무 불이행(디폴트)에 빠졌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거액의 대출 손실을 떠안지 않는 기존의 입장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지 않을 경우 추가 디폴트나 정치적 혼란의 소용돌이가 있을 것이라고 진단한다.

중국은 이번 보도와 관련한 성명에서 채무를 탕감하지 않는 채권국이라는 주장을 반박하는 한편, 차관 기간 연장이나 긴급 대출 형식으로 어려운 나라들을 지원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중국은 또 이전처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비판하는 말을 되풀이하면서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이 차관 일부 탕감 요구만 하지 말고 그들 역시 그렇게 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