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곡물가격 강세는 식품·외식업체의 실적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지난해 3분기까지만 하더라도 가격 인상을 통해 원가 부담을 상쇄하면서 엔데믹발(發) 수요 확대 효과를 누려 상당수 식품·외식기업의 실적이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작년 4분기 무렵부터 시작된 경기 둔화가 올해 가속하는 가운데 정부의 물가 상승 억제 기조까지 강화돼 실적이 본격적인 악화 국면에 접어든 곳이 많다.

5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의 올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가 추정치 평균)는 29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8%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바이오부문 주요 매출원인 라이신(사료에 쓰이는 필수 아미노산) 국제 가격이 지난해 2분기부터 하락세고, 경기 둔화로 국내 식품 소비 또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하희지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국내 경기 침체로 가공 및 소재 식품 수요가 부진하다”며 “중국에서도 핵산 및 사료용 아미노산 수요가 늘지 않아 이익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곡물을 원료로 한 전분당, 라이신 등 소재 사업을 하는 대상도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8.3% 줄어든 307억원에 머문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했다.

외식업체도 지난해부터 영업이익이 줄고 있다. 교촌에프앤비의 영업이익은 2021년 279억원에서 지난해 29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bhc도 이익이 7.8% 감소했다.

이런 마당에 정부는 기업들에 ‘가격 인상을 자제해달라’는 메시지를 연일 전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지난달 21일 커피 햄버거 치킨 등 외식업체 및 유관 단체를 만나 “서민이 느끼는 외식물가 부담이 크다”며 “업계와 관련 협회에서 당분간 가격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식품업계는 생수·아이스크림·주류업계가 가격을 동결하거나 인상 계획을 미뤘는데 외식업계가 정부 기조를 따를지는 확실치 않다. 외식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취지에 충분히 공감하지만 식자재뿐 아니라 인건비, 임대료까지 크게 올라 실행에 옮기는 데 고민이 많다”며 “가맹점주들이 본사에 가격 인상을 요청하는 사례가 많아 무조건 동결은 어렵다”고 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