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지난 1분기 한국 경제가 전분기 대비 0.3% 성장했다. 지난해 4분기 -0.4%에서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했다. 코로나19 영향에서 벗어나면서 민간 소비가 증가한 덕분이다. 하지만 투자와 수출이 부진한 데다 반도체 경기가 나빠 올해 성장률은 당초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 전망(1.6%)보다 낮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1분기 성장률 0.3%…소비 덕에 역성장 피했다
한은은 25일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속보치 기준)이 전분기 대비 0.3%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GDP는 2020년 3분기 이후 9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다 지난해 4분기 -0.4%로 뒷걸음질쳤지만 올 들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GDP 증가는 소비가 견인했다. 민간 소비가 0.5% 증가했다. 오락문화, 음식·숙박 등 서비스 소비가 살아난 영향이 크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실내 마스크 해제 이후 여행, 공연 등 대면 활동이 늘어나 민간 소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1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0.8% 늘어 GDP 증가율보다 높았다. 원유 등 주요 수입품 가격 하락폭이 반도체 등 수출품 가격 하락폭보다 커 교역 조건이 개선된 결과다.

소비(민간+정부)의 성장 기여도는 0.3%포인트로 1분기 성장률과 같았다. 소비 증가가 없었다면 경제성장률이 0%가 됐을 것이라는 의미다. 이 때문에 1분기 플러스 성장이 경기 회복 신호는 아니라는 시각이 많다. 실제 무역 부문은 최근 성장률을 갉아먹는 요인으로 전락했다. 한은에 따르면 1분기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는 -0.1%포인트였다. 작년 2분기 -1.0%포인트, 3분기 -1.8%포인트, 4분기 -0.5%포인트에 이어 네 분기 연속 마이너스다. 순수출이 이렇게 장기간 성장률을 깎아내린 건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2분기~1999년 1분기 후 24년 만에 처음이다. 투자 부진도 심각하다. 올 1분기 설비투자 감소폭(-4.0%)은 2019년 1분기(-8.3%) 후 4년 만에 가장 크다.

수출과 투자 부진이 지속되면서 한은이 다음달 발표할 경제전망에서 올 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가능성이 높다. 한은은 이날 브리핑에서 “IT(정보기술) 경기 회복 시점의 불확실성과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 지연 등 때문에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지난 2월 전망치(1.6%)보다 소폭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무디스 애널리틱스도 이날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1.4%로 예상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