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8인 탑승 가능한 오프로드SUV
강원도 인제 온·오프로드 시승
거침없는 험로 주행 성능 뽐내
디펜더110보다 차체 340mm 길어져
차박 평탄화 작업 필요한 부분 아쉬워
'올 뉴 디펜더 130' 사진=랜드로버 제공재규어랜드로버가 지난 3월 국내 출시한 8인승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올 뉴 디펜더 130'을 시승해봤다. 디펜더는 강인한 외관에 험로에서도 거침없이 달리는 주행 성능으로 오프로드 마니아들에게 꾸준한 인기를 끄는 차량이다.
랜드로버 '올 뉴 디펜더 130'. 영상=신용현 기자지난달 28일 강원도 인제 일대에서 오프로드와 온로드 약 65km 구간을 주행했다. 시승 차량은 '올 뉴 디펜더 130 P400 X Dynamic HSE' 모델이다. 일부 구간에서는 디펜더 90모델로 운전하며 130과의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었다.
랜드로버 '올 뉴 디펜더' 130, 110, 90. 영상=신용현 기자디펜더 130은 110 모델과 전·후면부 디자인은 같지만 리어오버행(뒷바퀴부터 후방 끝까지 거리) 길이가 340mm 더 길다. 전장은 5098mm이다. 테일게이트에 장착된 스페어 타이어까지 포함하면 5358mm으로 늘어난다. 길이만 놓고 보면 기아 카니발(전장 5155mm, 휠베이스 3090mm)과 비슷하다.
랜드로버 '올 뉴 디펜더 130' 오프로드 체험 주행. 영상=신용현 기자시승은 오프로드 코스 중심으로 진행됐다. 총 시승 시간 2시간30분 중 1시간30분 가량 자갈길과 도강 등을 달리며 험로 주행 성능을 느껴볼 수 있었다.
첫 번째 오프로드 코스에선 수심 60cm 깊이 강물을 건넜다. 코스 진입 전에 랜드로버 인스트럭터(강사) 안내에 따라 차량 지상고를 높였다. 디펜더 130의 에어 서스펜션은 주행모드를 오프로드로 설정하면 지상고를 75mm 높여준다. 추가로 70mm 더 높일 수 있어 차체를 최대 145mm까지 높일 수 있다. 물길 아래엔 자갈이 깔려 자칫 차량이 미끄러질 수 있었지만 다양한 지형에 대응할 수 있는 랜드로버의 터레인 리스폰스 시스템으로 미끄러짐 없이 건너갔다.
디펜더 130은 운전자가 컴포트, 에코, 스노우, 머드, 샌드, 암석 및 도강모드 등으로 설정하면 각 상황에 걸맞은 주행 능력을 발휘한다.
랜드로버 '올 뉴 디펜더 130' 오프로드 경사로 주행. 영상= 신용현 기자물길을 건넌 뒤엔 경사로 코스에 진입했다. 약 5m 높이 언덕 구간이다. 차 바퀴가 모두 언덕에 오르자 전면 유리창을 통해 보이는 건 하늘뿐이었다. 차량 앞 상황이 보이지 않는 데다 옆으로 굴러떨어지진 않을까 걱정도 들었다. 인스트럭터는 무전으로 디펜더 130에 탑재된 3D 서라운드 카메라를 작동해보라고 했다. 보이지 않던 앞 상황을 카메라를 통해 확인하며 언덕을 내려갈 수 있었다. 이때 차체의 좌우 상황도 함께 보여줘 코스 이탈 없이 주행 가능했다.
'올 뉴 디펜더 130' 사진=랜드로버 제공연달아 경사 코스를 통과한 다음 진흙 코스에 진입했다. 바퀴가 헛돌 거란 예상과 달리 안정적으로 코스를 빠져나갔다. 시승 차량 중 한 대에만 적용된 올-터레인 타이어의 도움이라 보기엔 일반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도 큰 미끄러짐 없이 코스를 탈출했다.
랜드로버 '올 뉴 디펜더 130'. 영상=신용현 기자진흙 코스를 뚫고 메마른 땅을 지나갈 땐 모래바람에 마치 사막을 주행하는 듯한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랜드로버 '올 뉴 디펜더 130' 오프로드 도강. 영상=신용현 기자꽤 깊은 강을 건너는 코스도 진행했다. 앞 차량의 뒷 번호판이 물에 잠길 정도의 깊이였다. 디펜더 130은 제원상 900mm 높이까지 도강할 수 있다. 현재 수심을 나타내 주는 수심 감지(웨이드 센싱, Wade Sensing)화면에는 최대치인 900mm를 넘어서자 경고 알림을 보여주기도 했다. 도강 중 물이 출렁거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약 1m까지도 도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랜드로버 '올 뉴 디펜더 130' 스노클 에어 인테이크. 사진=신용현 기자시승 차량에는 운전자 창문 옆에 스노클링 장비와 비슷한 '스노클 에어 인테이크'가 적용돼 깊은 수로 주행도 문제없었다. 이 장비는 스노클을 통해 공기를 엔진에 공급한다.
랜드로버 '올 뉴 디펜더 130' 3D 서라운드 카메라 오프로드 작동 화면 . 사진=신용현 기자수심이 깊어지자 양쪽 문에서 물살을 가르는 소리가 들렸다. 문을 열면 차가 물에 잠길 것 같았다. 실내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보닛 아래 상황을 보여주는 클리어 사이트 그라운드 뷰로 물속을 보여주는 독특한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올 뉴 디펜더 130' 실내. 영상=신용현 기자1시간30분가량의 오프로드 코스 주행을 마치고 일반도로에 진입했다. 험로를 거침없이 뚫고 달리던 디펜더의 힘은 고속주행에서도 만족스러운 가속력을 보여줬다.
육중한 차체에도 뛰어난 가속력을 보여준 디펜더 130엔 신형 3.0L I6 인제니움 가솔린 엔진이 탑재됐다. 시승 모델인 '올 뉴 디펜더 130' P400 X Dynamic HSE의 최고 출력은 400마력, 최대 토크는 56.1kg.m이다. 제로백(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도달에 걸리는 시간)은 6.6초다.
주행 중 정숙성은 뛰어났다. 노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잘 막아줬다. 다만 속도를 높이자 풍절음이 다소 거세게 들려왔다. 랜드로버 측은 시승 차량에 설치된 '에어 스노클'이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정차하면 자동으로 시동이 꺼지는 스톱앤고 기능은 인상적이었다. 시동이 꺼지고 켜질 때 차체 흔들림 때문에 이 기능을 끄고 주행하는 운전자가 상당수지만, 디펜더 130은 시동이 꺼지고 켜질 때 차체 흔들림이 거의 없었다.
'올 뉴 디펜더 130' 사진=랜드로버 제공도로가 움푹 팬 구간을 지나갈 때도 충격 없이 부드럽게 넘어갔다. 방지턱을 넘는 순간 속도를 내봤다. 약간의 충격이 전해졌지만 울렁거리는 느낌은 없었다. 랜드로버는 "디펜더 130에 적용된 어댑티브 다이내믹스가 운전자 주행에 따라 차체 반응을 예측해 제어하고, 초당 500회 노면을 모니터링해 서스펜션을 제어해 최적의 승차감을 제공한다고"고 설명했다.
브레이크는 예민하게 반응해 주의가 필요했다. 디펜더 130 시승을 시작하고 첫 브레이크 조작했을 때 예상보다 빠른 브레이크 반응에 차체가 울컥거리기도 했다.
'올 뉴 디펜더 130' 사진=랜드로버 제공디펜더 130은 실내 공간에서도 오프로드 SUV의 이미지를 여지없이 드러냈다. 단단해 보이는 대시보드와 나사와 볼트가 노출된 도어 패널디자인이 특징이다.
랜드로버는 성인 3명이 앉아도 여유로운 3열 시트라고 설명했다. 실제 3열에 앉아보니 머리 공간(헤드룸)이 넉넉하고 머리 위에 선루프가 설치돼 있어 개방감을 더했다.
랜드로버 '올 뉴 디펜더 130' 트렁크. 영상=신용현 기자트렁크 용량은 3열 시트까지 펼쳐진 상태에선 389L다. 2열과 3열 모두 접으면 2290L로 늘어난다. 2열, 3열 시트를 모두 접어보니 공간은 넓게 나왔지만 시트 간 높이 차이가 있어 차박을 하려면 평탄화 작업이 필요해 보였다.
랜드로버 '올 뉴 디펜더 130' 조수석 아이소픽스(ISOFIX). 영상=신용현 기자8인승 SUV 디펜더 130에는 카시트 설치를 위한 아이소픽스(ISOFIX)가 총 다섯 군데 배치돼있다. 2열과 3열 좌우 좌석과 조수석에도 설치할 수 있어 최대 5개 시트에 카시트를 설치할 수 있다.
시승을 마치고 안전벨트를 풀었더니 에어 서스펜션이 차체를 자동으로 낮춰줬다. 온로드 주행 시 높이보다 50mm 내려갔다. 차체 높이가 내려와 사이드스텝 도움 없이도 편하게 하차할 수 있었다.
올 뉴 디펜더 130의 국내 출시가격은 P400 다이내믹 HSE 1억4217만원이다. D300 다이내믹 HSE 모델은 1억3707만원(개별소비세 3.5% 인하분 적용)이다.
대표적인 '패밀리카' '아빠차'로 꼽히는 기아 레저용차량(RV) 카니발의 중고차 가격이 최근 하락세다. 올해 카니발 부분 변경 신차 출시가 예고된 데다 다양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신차들이 속속 나오면서 중고 매물이 늘어난 영향이다.13일 중고차 업계에 따르면 기아 카니발 중고차 대표 모델인 올 뉴 카니발(2014~2018년 연식)과 더 뉴 카니발(2018~2020년 연식) 시세가 최근 3개월간 지속 하락하고 있다.중고차 플랫폼 케이카에서 올 뉴 카니발의 경우 올해 1월 2066만원이었으나 이달 들어 1879만원으로 가격이 187만원 떨어졌다. 더 뉴 카니발 가격 2992만원에서 2716만원으로 276만원 싸졌다.엔카닷컴은 카니발을 포함해 중형급 이상 SUV 중고차 시세가 떨어졌다고 분석했다.더 뉴 카니발 9인승 프레스티지는 전월 대비 시세가 2.94% 하락했다. 더 뉴 싼타페 2.2 2WD 프레스티지는 2.76%, 르노 더 뉴 QM6 2.0 GDe RE 시그니처 2WD는 3.26% 각각 시세가 하락했다.올해 카니발 페이스리프트 신차 출시가 예고돼 있고, 올 초부터 완성차 업계에서 SUV 신차를 연이어 출시하면서 구형 매물이 늘고 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시세 하락에는 복합적 요인들이 같이 있지만, 토레스나 신형 카니발 등 SUV나 RV 신차가 출시되거나 예고돼있는 상황도 어느정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그러므로 봄철을 맞아 중고 패밀리카를 구입하려 한다면 지금이 적기라는 조언이 뒤따랐다.엔카닷컴 관계자는 "지난 1분기 시세 하락이 이어지며 합리적 가격대로 접어들자 중고차로 눈길을 돌리는 소비자들이 늘어났다. 4월에도 구매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달 시세가 하락했던 국산 중형급 이상 SUV 모델들을 조건에 따라 살펴볼 만하다"고 귀띔했다.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8명 탈 수 있는 첫 디펜더, 부족한 평탄화는 아쉬워 -이탈각 줄어도 오프로드 성능은 여전 랜드로버의 상징인 디펜더가 새로운 선택지를 더했다. 리어 오버행을 340㎜ 늘린 디펜더 130이 주인공이다. 새 디펜더는 키운 차체에 맞춰 제품 최초로 8개의 좌석을 얹어 공간활용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차명에 기존 롱바디인 110보다 20이 큰 130이 붙은 이유다. 하지만 누군가는 커진 체격을 두고 "디펜더만의 오프로드 성능을 해치지 않을까"란 우려를 보낸다. 이에 수입사는 보란 듯이 강원도 인제에 위치한 오프로드 체험장에서 디펜더 130을 소개했다. ▲달라진 비례감, 확 커진 실내 디펜더의 외관은 과거 디펜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최신 디자인이 돋보인다. LED를 쓴 헤드램프와 탄탄한 볼륨을 더한 펜더, 개성을 강조하는 플로팅 디자인 등이 새로운 볼거리를 만들어냈다. 130의 핵심인 측면은 후드 끝부터 A~C필러까지 110과 동일하다. 그러나 리어 오버행이 늘어나면서 전반적인 비례감이 달라졌다. 확실히 뒤쪽에서 무게감이 느껴지는 조형성이 드러난다. 뒤쪽이 길어진 만큼 체격도 많이 달라졌다. 디펜더 130의 접근각과 이탈각은 각각 37.5°, 28.5°로 110과 접근각은 동일하지만 이탈각은 11.5° 줄었다. 디펜더를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인 지붕 모서리의 알파인 라이트 윈도우가 사라진 점도 아쉽다. 후면부는 차체 색과 동일한 스페어 타이어 커버를 장착했다. 실내 역시 앞좌석과 2열 좌석의 구성이 디펜더 110과 동일하다. 그러나 3열 좌석이 생기면서 2+3 형태에서 2+3+3로 좌석 배치가 바뀌었다. 그럼에도 2열과 3열 좌석은 경기장 좌석에서 영감을 얻은 랜드로버 고유의 스타디움 스타일을 반영해 시야가 넓다. 특히 3열은 1,200㎜의 전체 폭과 804㎜의 레그룸을 갖춰 성인도 어렵지 않게 앉을 수 있다. SUV보다 MPV의 느낌이 짙은 이유다. 적재공간은 3열 좌석을 펼친 상태에도 소형 SUV보다 조금 작은 389ℓ의 공간을 기본 제공한다. 좌석은 4:2:4 비율로 나눠 접을 수 있으며 적재는 3열을 접으면 1,232ℓ, 2열까지 모두 접으면 2,291ℓ까지 가능하다. 다만 평탄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매트 없이 차박을 하기엔 역부족이다. 편의품목은 11.4인치 커브드 글라스 스크린, 피비 프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12.3인치 대화형 운전자 디스플레이, 무선 업데이트(Software-Over-the-Air) 기능 등을 갖췄다. ▲여전한 야성의 매력 동력계는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포함한 인제니움 직렬 6기통 3.0ℓ 형식의 가솔린과 디젤의 두 가지 엔진 중 고를 수 있다. 시승차는 디젤 엔진을 얹어 최고 300마력, 최대 66.3㎏·m를 낸다. 6기통인 만큼 부드러우면서도 0→100㎞/h 가속을 7.5초에 끝낼 정도로 호쾌한 동력을 제공한다. 8단 자동 변속기는 2.7t에 이르는 차체를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다. 험로 주행을 위한 2단 트랜스퍼 박스도 존재감이 크다. 시승은 오프로드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디펜더의 성능을 알아보기엔 최적의 조건이다. 변속 레버를 중립에 놓고 4륜 로우 기어로 전환한 후 지상고를 높였다. 디펜더 130에 기본 장착한 에어 서스펜션은 전륜 71.5㎜, 후륜 73.5㎜를 들어 올려 지상고를 최고 430㎜까지 높일 수 있다. 모니터는 오프로드 주행 상황을 볼 수 있도록 설정하고 준비를 마쳤다. 인스트럭터의 안내에 따라 차가 가장 먼저 진입한 곳은 물이다. 수심 60㎝의 고인물을 디펜더는 유유히 지나갔다. 지상고를 높인 데다 흡기 시스템 자체도 높게 배치해 엔진 침수 걱정이 없다. 바닥에 자갈이나 흙이 깔려있는 상태였지만 네 바퀴의 구동력이 적절히 전달되면서 거뜬하게 주행한다. 이어 35도 경사의 가파른 오르막 코스가 나타났다. 사람이 걸어서 오르기도 벅찬 기울기다. 높이는 7m 남짓. 게다가 앞차들이 바닥을 적셔놓았기 때문에 미끄럽기까지 하다. 그러나 디펜더는 능숙하게 올라갔다. 네 바퀴에 효과적으로 구동력을 공급했고 출력도 넉넉했기에 가능했다. 바로 이어진 내리막에선 저속 유지 시스템이 작동해 별도의 브레이크 조작 없이도 천천히 내려올 수 있었다. 잠시 숨을 고르고 오프로드 주행 모드를 머드로 바꾼 뒤 진흙탕에 들어섰다. 예상대로 바퀴는 진흙을 밟기 시작하면서 헛돌기 시작했다. 시승차가 험로주파용 타이어를 끼우지 않았기 때문에 스핀이 더 심했다. 그러나 가속 페달을 적절히 밟아가자 디펜더는 앞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어느덧 차는 앞 유리까지 흙을 잔뜩 튀고 있었다. 이어진 락 크롤 구간에서는 불규칙한 바위 표면과 경사로 인해 1~2개의 바퀴가 허공에 떠 있는 순간이 잦았다. 그러나 디퍼렌셜 장치 덕분에 쉽게 돌파했다. 지면과 닿은 바퀴에 구동력을 집중해 효과적으로 탈출할 수 있다. 차체의 높은 강성도 돋보였다. 차체가 비틀리는 느낌이 전혀 없지 않았지만 자세를 바로 잡고 다시 봤을 때 이상을 느끼진 못했다. 이어지는 코스는 다시 도강이다. 계곡을 오가는 시승코스답게 입수가 잦았는데, 이번엔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이 85㎝에 이른다. 사람이 건너려고 해도 물살이 쎌 경우 위험할 수 있는 수준이다. 차가 물에 들어가자 확실히 깊은 수심을 볼 수 있었다. 창문을 열고 손을 뻗으면 물에 닿을 것 같았다. 문틈 사이로 물이 스며들 것처럼 보이기도 했지만 한 방울도 들이치지 않았다. 모니터를 통해 수심을 살필 수 있다는 점도 안심이 됐다. 마지막은 측경사가 30도에 이르는 대형 범피 코스다. 옆 창문으로 지면이 눈에 들어올 만큼 가파른 경사다. 차체의 무게 중심이 제법 높아 위태로울 것 같았지만 생각보다 쉽게 버티면서 코스를 빠져나갔다. 락 크롤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바퀴가 지상에서 멀어지기도 했지만 문제될 건 없었다. 손해를 볼 것 같았던 이탈각의 감소도 막상 오프로드를 경험해보니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온로드 시승은 지상고를 낮추고 주행모드를 변경한 후 와인딩 중심으로 진행했다. 짧은 시승이지만 굽잇길이 많은 강원도의 특성상 높은 주행 성능을 요구한다. 그러나 디펜더에는 '어댑티브 다이내믹스'라는 무기가 있다. 주행 상황에 따라 차체의 반응을 예측해 롤링과 피칭을 제어한다. 오프로드 주행에 최적화한 탓에 무른 하체를 지녔지만 롤링 억제력이 제법 강해 역동적인 코너링을 돕는다. 노면을 초당 500회 살피며 감쇠력을 조정하는 서스펜션도 인상적이다. 디펜더가 포장도로에서도 유연하게 달릴 수 있는 이유다. ▲오프로드 주행을 위한 다인승 모빌리티 디펜더 130은 공간 확장을 통해 보다 더 많은 인원이나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했다. 덕분에 두 대가 나눠서 즐기는 오프로드의 스릴을 한 대로 가능하게 한다. 오프로드에서의 다재다능함을 더욱 강조할 수 있는 새로운 모빌리티로서의 활약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다. 가격은 가솔린 P400 X 다이내믹 HSE 1억4,217만원, 디젤 D300 X 다이내믹 HSE 1억3,707만원이다.구기성 기자 kksstudio@autotimes.co.kr▶ [시승]듬직한 막내, BMW X1▶ [시승]하나의 엔진 다른 차종, 마세라티 MC20 첼로 & 그레칼레 트로페오▶ [시승]차고 넘치는 힘, BMW XM▶ [시승]현대차 스타리아 LPG, 캠핑카로 타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