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물가오름세 꺾였지만 美 집세 위주 서비스물가 상승세 지속"
보험연구원 "한국·미국 물가상승 차이는 집세 때문"
한국과 미국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으나 미국의 경우 집세를 중심으로 서비스 물가 상승세가 지속해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고 보험연구원이 분석했다.

보험연구원은 윤성훈 선임연구위원과 최성일 연구위원은 26일 발표한 '한국과 미국 소비자물가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한국은행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3.5%에서 동결한 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현 5.0%인 기준금리 상단을 추가 상향 조정할 것임을 시사하는 배경에 대해 이처럼 진단했다.

보고서는 미국의 경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6월 9.1%로 고점을 기록한 이후 둔화세를 보이고 있으나 주택 항목의 상승률은 하락하지 않고 오히려 작년 고점 대비 상승률이 높아진 점에 주목했다.

작년 6월 주택 항목 물가 상승률은 7.3%였는데 올해 1월 들어선 상승률이 8.2%로 높아졌다는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또한 미국의 상품 물가 상승률이 작년 6월 13.3%를 고점으로 둔화한 것과 달리 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집세를 중심으로 올해 1월 7.6%로까지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반면 한국은 상품 물가가 2022년 7월 9.0%를 고점으로 올해 1월 6.6%로 꺾였고, 서비스 물가는 2022년 10월 4.2%를 고점으로 올해 1월 3.8%로 낮아졌다.

보고서는 한국과 미국 간 물가 상승 차별화가 나타나는 배경에 대해 "미국의 경우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주택시장, 특히 임대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크지 않고 노동시장이 과열된 모습을 보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라고 진단했다.

다만, 보고서는 "한국의 경우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항목을 제외하면 미국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높은데 물가지수 기여도가 높은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음식 및 숙박', '기타 상품 및 서비스' 등에 대한 물가 관리가 긴요하다"고 제언했다.

보험연구원 "한국·미국 물가상승 차이는 집세 때문"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