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키위 협동조합이 운영하는 제스프리에 속한 국내 농가 수가 급증하고 있다. 제주도와 전라남도 지역에서 300개에 가까운 농가들이 합류해 4년만에 50% 증가세를 보였다.

농산물 가격 급등락과 판로 확보 어려움을 겪던 감귤, 한라봉 등 재배 농가들이 생산부터 판매까지 시스템화 된 제스프리로 갈아타고 있어서다.

○농가 4년만에 50% 급증

사진= 제스프리 제주 농가
사진= 제스프리 제주 농가
21일 제스프리의 한국 생산지사인 제스프리프레쉬프로듀스코리아에 따르면 국내 제스프리 농가는 제주도 267곳, 전라남도 21곳 등 총 288곳이다. 지난해 말 264곳에서 불과 석 달도 안돼 24개 농가가 합류했다. 4년 전인 2019년 농가 수 194개에 비하면 94개(48.5%) 증가한 것이다.

제스프리 키위의 국내 재배면적도 크게 늘고 있다. 현재 재배면적은 232만㎡로 2019년 119㎡의 두 배(94.9% 증가)로 확대됐다.

이들은 감귤류를 생산해왔거나 독립적으로 키위를 재배해오던 농가들이 많다. 업계 관계자는 "겨울철 대표 과일이었던 감귤이 이제는 딸기나 키위, 망고 등에 비해 인기가 떨어지고 가격 급등락이 잦아 감귤농가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며 "농업의 극심한 인력난으로 개별 농가의 한계를 인식해 제스프리로 옮긴 경우도 상당 수"라고 설명했다.

제주도 감귤산업은 매년 위축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감귤 재배면적은 2021년 1억9998만㎡로 1990년 이후 31년 만에 2억㎡ 밑으로 떨어졌다.

○생산·유통·판매까지 시스템화

이같이 농가들이 제스프리에 잇따라 합류하는 이유는 기존 국내 농업에서 찾기 힘든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영세한 농가들이 개별적으로 농사를 지으면 수확시기에 인력을 구하기 힘들고 저장, 유통, 판매까지 감당하는데 부담이 크다"며 "생산부터 유통, 마케팅 등 전 과정에 표준화된 제스프리의 시스템은 국내 농가들에겐 큰 매력"이라고 설명했다.

제스프리는 묘목 식재부터 수확까지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농가들은 일년에 5번 가량 기술 교육을 받는다. 당도 15브릭스 이상, 개당 120g 크기의 엄격한 품질 조건을 충족하도록 관리감독한다.
농가 300곳이 갈아탔다…제주도 변화시킨 제스프리의 비결 [하수정의 티타임]
안양순 제스프리프레쉬프로듀스코리아 지사장(사진)은 "뉴질랜드 현지에서 키위에 대한 대규모 연구개발(R&D) 투자를 하고 있으며 그 농업 기술과 시스템을 국내에 전수하고 있다"며 "국내 농민들이 뉴질랜드를 정기적으로 견학하고 있고, 뉴질랜드에서 기술자를 국내로 파견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농가 연 평균매출 1억

처음부터 국내 농가들이 제스프리에 우호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2004년 제주 서귀포시와 제스프리가 생산 협약 체결한 이후 조금씩 국내 농가가 합류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하지만 초창기엔 제스프리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농약 잔류검사에서 탈락해 수확하지 못하자 반발하는 사례도 있었다.

안 지사장은 "항생제를 금지하고 농약 잔류검사를 통과하도록 규정하다보니 처음에는 농가들의 불만도 많았다"며 "지금은 최상품 키위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을 따라오는 농가들이 많아져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다"고 했다.

국내 제스프리 농가의 연 매출은 1만㎡ 당 평균 1억2000만원 가량이다. 평균 재배면적이 8000㎡인 점을 감안하면 평균 기준으로 농가당 연 9700만원 가량의 매출을 거둔다는 뜻이다. 제스프리에 일정 로열티(마케팅, 유통비용 포함)를 지급한 후의 금액이다. 여기서 인건비 등 제반 비용을 빼고 매출의 50%가량을 농가가 소득으로 거둬들인다. 식재 연차나 농가의 노력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제스프리의 교육을 따라오면 충분히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게 안 지사장의 설명이다.

그러다보니 최근 제스프리 농가의 승계 사례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서울에서 대학을 나와 직장을 다니던 오봉훈(29세) 씨는 아버지의 제스프리 농사를 물려받기 위해 최근 제주도로 내려왔다. 오 씨는 "농업이 안정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직업이라는 사실을 직접 확인했다"며 "서울에서 40, 50대에 은퇴를 하느니 차라리 일찍 농업으로 전업해 정년없는 직업을 갖고 싶다"고 말했다.

뉴질랜드 마운트 마운가누이에 본사를 둔 제스프리는 100% 키위 농가로 이루어진 협동조합이다. 뉴질랜드를 비롯해 한국, 일본, 이탈리아, 프랑스 등 5개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전세계 50여 개국에 키위를 판매해 매출 2조4000억원을 올리고 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