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AI) 정책 담당자들이 AI 능력시험 ‘AICE’에 도전한다. 챗GPT로 AI 열풍이 불기 전부터 AI 분야 육성에 힘을 쏟아온 과기정통부는 AICE 응시를 계기로 자체 역량을 점검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정책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
"AI 정복해야 정책 만들죠" 과기정통부도 AI 시험 열공

“국민 위한 AI 정책 만들자”

12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이 부처 인공지능기반정책관 소속 직원 12명은 다음달 7~8일 열리는 제2회 AICE 정기시험에 응시한다. 수준에 따라 일반인 대상 베이식(BASIC)과 준전문가 대상 어소시에이트(ASSOCIATE) 시험에 참여한다.

응시자는 모두 동영상 교육을 먼저 받은 뒤 이를 바탕으로 시험을 보는 패키지를 신청했다.

엄열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AI 분야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담당부처인 과기정통부 직원들이 좋은 정책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시장의 움직임을 끊임없이 이해해야 한다”며 “AICE 응시는 좋은 자극이 되고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전 국민의 AI 일상화’를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독거노인에게 AI 돌봄로봇을 지원하고 공공병원의 의료에 AI를 적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목표다. 복지 문제, 재난상황 해결, 민원 대응 등에도 AI 기술을 적용해나갈 예정이다.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AI 기술을 개발해 2027년까지 AI 기술을 도입한 기업 비중을 50%로 높일 계획이다.

기술적인 우위를 목표로 AI 반도체 지원 사업도 진행 중이다. 국산 AI 반도체를 사용하는 데이터센터를 두 곳에 지어 사업 실증 이력을 쌓도록 하는 ‘K클라우드 사업’에 관련 업계의 이목이 쏠려 있다. 지난 8일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주재로 경기 성남시 판교동에서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를 열기도 했다.

이런 AI 드라이브는 작년 9월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 뉴욕에서 디지털 기술을 ‘자유’와 연계해 발표한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뉴욕구상)의 연장선에 놓여 있다. 이 구상은 디지털 생태계를 특정 계층이 독식해서는 안 되며 디지털 격차를 줄이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가 ‘국민이 체감하는 AI 정책’을 강조하는 배경이다.

“AI 이해도 높일 계기”

과기정통부는 선발대로 응시한 AI 담당 직원들이 시험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면 다른 부서 직원에게도 응시를 권장할 계획이다. 산하기관 등에도 순차적으로 전파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에서도 AICE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지난해 11월 시험에 응시한 이들 사이에서 ‘진짜 실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라는 입소문이 돌아서다. 대부분의 응시자는 형식적인 시험이 아니고 실습 중심이어서 예상보다 어려웠지만 도움이 많이 됐다고 평가했다. 시험에 응시했던 한 클라우드업체 직원 조모씨는 “막연하게 이해하던 AI 프로세스를 실제 교육을 받으며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됐다”며 “교육받기를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후기를 남겼다.

AICE는 한국경제신문사와 KT가 개발·운영하는 신개념 테스트다. 표준화된 테스트가 없어 AI 인재를 양성 및 발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기업과 교육기관의 요구를 반영해 새로운 형태의 시험을 설계했다. ‘디지털 인재 100만 명 양성’을 모토로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가 추진 중인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의 초석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지난해 열린 1회 정기시험 참여자는 1984명에 달했다. 기업과 학교 단위로 치러진 수시시험을 합하면 2500여 명이 AICE를 경험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