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포근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농작물 도매가격이 오름세를 멈췄다. 기온에 많은 영향을 받는 엽채류의 가격 안정이 두드러진다.
10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KAPI에 포함된 22개의 작물 모두 국내산 도매가격이 지난주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날 국내산 상추 도매가격은 ㎏당 3750원으로 지난주보다 32.5% 떨어졌다. 양상추는 ㎏당 1964원으로 38.1% 내린 가격에 거래됐다.
따뜻해진 날씨가 엽채류 생산량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강추위가 들이닥친 지난겨울에 하우스 난방비 급등까지 더해져 가격이 올랐지만, 최근 엽채류 성장 속도가 빨라져 생산량이 증가하는 추세다. 대형마트 채소 담당 바이어는 “날씨가 본격적으로 따뜻해지는 이달 중순 이후부터는 가격이 더 안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양파와 풋고추는 여전히 작년보다 두 배 이상 비싸다. 풋고추 또한 엽채류와 마찬가지로 날씨가 따뜻할수록 잘 자라지만 지난 1월 말부터 2월까지 `한파로 생산량이 많이 감소했다. 양파의 경우 1년 전보다 339.0% 폭등한 ㎏당 1503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가뭄으로 저장 물량이 부족해 양파 가격이 계속 오르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주 210.96포인트(3월 3일)까지 치솟았던 KAPI는 9일 167.43포인트를 기록하며 1주일간 25.9% 떨어졌다.
전국적으로 포근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농작물 도매 가격도 상승세를 멈췄다. 기온에 많은 영향을 받는 엽채류의 하락폭이 두드러진다. 다만 지난해 이상기후의 영향을 받은 양파와 풋고추 등 일부 작물은 여전히 작년 대비 2~3배 비싼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10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감자, 양파, 상추 등 KAPI에 포함된 22개의 작물 모두 국내산 도매 가격이 지난주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날 국내산 상추 도매가격은 ㎏당 3750원으로 지난주보다 32.5% 하락했다. 양상추는 38.1% 하락한 1964원, 깻잎은 31.7% 내린 6721원에 거래됐다.따뜻해진 날씨가 엽채류 생산량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엽채류는 섭씨 10℃ 안팎의 온도에서 가장 잘 자라는 작물이다. 강추위가 들이닥쳤던 지난 겨울에는 하우스 난방비 급등까지 더해져 가격이 올랐지만 최근 엽채류 성장 속도가 빨라져 생산량이 증가하는 추세다. A 대형마트 채소 담당 바이어는 “이달 초 ‘삼겹살 데이(3월 3일)’ 때문에 육류 소비가 늘어나 상추와 깻잎의 수요 또한 일시적으로 증가했다”며 “날씨가 본격적으로 따뜻해지는 3월 중순 이후부터는 가격이 더 안정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다만 양파와 풋고추는 여전히 작년보다 두 배 이상 비싸다. 풋고추 또한 엽채류와 마찬가지로 날씨가 따뜻할수록 잘 자라는데 지난 1월 말부터 2월 중순 한파로 생산량이 많이 감소했다는 설명이다.양파의 경우 1년 전보다 339.0% 폭등한 ㎏당 1503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가뭄으로 저장해둘 수 있는 양파 물량이 부족했기 때문에 양파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B대형마트 관계자는 “3월 말 제주 지역에서 햇양파가 출하될 때까지는 가격이 지금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고 전했다.지난주(3월 3일) 210.96포인트까지 치솟았던 KAPI는 9일 167.43포인트를 기록하며 약 일주일 간 25.9% 떨어졌다.한경제 기자
상추값이 폭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추운 날씨로 생육이 부진해 출하량이 줄어든 와중에 ‘삼겹살데이’(3월 3일)를 맞아 쌈채소 수요가 많이 늘어났다.3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국내산 상추 평균 도매가격은 ㎏당 6712원으로 집계됐다. 전주 평균 가격 대비 91.2% 상승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81.3% 급등했다.평년보다 추운 겨울 날씨가 가격을 밀어 올렸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겨울철 상추 주산지인 충남 논산 지역의 상추 생육이 부진했다. 최근 급등한 난방비도 시설 재배로 키우는 상추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됐다.여기에 삼겹살데이까지 겹쳤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최근 한우 할인 행사와 삼겹살데이 행사 등이 겹쳐 육류 소비량이 증가하는 바람에 쌈채소를 찾는 소비자도 덩달아 늘었다”며 “상추 깻잎 등 쌈채소 가격이 나란히 오른 배경”이라고 설명했다.상추 가격 상승세가 오래가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달 들어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상추 생육 속도가 빨라져 출하량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지난 1~2월에는 상추 모종을 심은 뒤 수확까지 약 45일 걸렸는데, 최근에는 25~30일 수준으로 단축됐다. 테란은 다음달 상추 가격이 ㎏당 4343원으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대파 가격도 강세를 보인다. 전날 대파 평균 도매가격은 ㎏당 2211원으로 전주 대비 24.6% 올랐다. 1년 전과 비교하면 가격이 67.1% 상승했다.전년보다 출하(수확) 면적이 줄어들면서 가격이 뛰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대파 출하 면적은 전년 대비 8.8% 감소했다. 지난해 정식(온상에서 기른 모종을 밭에 옮겨 심는 것) 시기에 대파 가격이 하락한 탓에 농민들이 대파 대신 다른 농작물을 심으면서 면적이 줄었다.KAPI는 전날 203.8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선 지난달 24일 처음으로 KAPI가 200을 넘었다. 석 달 전(117.0)에 비해선 86.8포인트 급등했다. KAPI는 100보다 높을수록 농산물 가격이 평년 대비 전반적으로 높게 형성됐음을 의미한다.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
한낮엔 봄이 느껴질 정도로 날이 따뜻해졌는데도 농산물 도매가격 상승세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다. 작년 12월 중순부터 지난달까지 이어진 한파가 지금까지 농산물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강추위가 이어지는 기간에 작물이 얼어 죽는가 하면 일부 농가는 가스비와 전기료를 감당하지 못해 하우스 작물 재배를 일시 중단했다.가격 상승세가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풋고추다. 24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국내산 풋고추 도매가격은 ㎏당 1만6234원으로 지난달보다 156.0%, 1년 전보다 194.1%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년(2013~2022년) 풋고추의 2월 평균 도매가격(6139원)보다는 2.6배 뛰었다.풋고추 주산지인 전남과 경남에 한파가 들이닥치며 생산량이 급감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지역 풋고추는 1월 내내 햇볕을 쬐지 못해 제때 꽃을 피우지 못했고 착과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2월 풋고추 거래량은 평년 평균 4038t에서 올해 2518t으로 급감했다. 대형마트 한 채소 담당 바이어는 “풋고추는 일반적으로 자가 수정하지만, 그렇지 못한 꽃은 벌을 이용해 수정한다”며 “한파의 영향으로 벌 활동이 줄어든 것도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토마토도 낮은 기온의 영향을 받았다. 토마토와 방울토마토의 ㎏당 도매가격은 지난주보다 각각 20.6%, 38.4% 상승했다. 날이 추워 농가에서는 예년에 비해 정식(온상에서 기른 모종을 밭에 제대로 심는 일) 시기를 늦췄고, 그만큼 수확 일정이 지연됐다.호박(24.2%), 오이(13.3%)도 지난주보다 도매가격이 올랐다. 식자재 유통업체 한 관계자는 “호박과 오이는 비닐하우스에서 재배가 가능한 작물이지만, 일부 농가에서는 가스비와 전기료 상승을 이유로 작물 재배를 잠시 중단했다”고 했다.KAPI는 지난 17일부터 1주일째 190 이상을 기록했다. 23일에는 198.62를 찍었다. 지난 10년간의 2월 KAPI 중 가장 높은 수치다.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