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낮엔 봄이 느껴질 정도로 날이 따뜻해졌는데도 농산물 도매가격 상승세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다. 작년 12월 중순부터 지난달까지 이어진 한파가 지금까지 농산물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강추위가 이어지는 기간에 작물이 얼어 죽는가 하면 일부 농가는 가스비와 전기료를 감당하지 못해 하우스 작물 재배를 일시 중단했다.
가격 상승세가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풋고추다. 24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국내산 풋고추 도매가격은 ㎏당 1만6234원으로 지난달보다 156.0%, 1년 전보다 194.1%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년(2013~2022년) 풋고추의 2월 평균 도매가격(6139원)보다는 2.6배 뛰었다.
풋고추 주산지인 전남과 경남에 한파가 들이닥치며 생산량이 급감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지역 풋고추는 1월 내내 햇볕을 쬐지 못해 제때 꽃을 피우지 못했고 착과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2월 풋고추 거래량은 평년 평균 4038t에서 올해 2518t으로 급감했다. 대형마트 한 채소 담당 바이어는 “풋고추는 일반적으로 자가 수정하지만, 그렇지 못한 꽃은 벌을 이용해 수정한다”며 “한파의 영향으로 벌 활동이 줄어든 것도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토마토도 낮은 기온의 영향을 받았다. 토마토와 방울토마토의 ㎏당 도매가격은 지난주보다 각각 20.6%, 38.4% 상승했다. 날이 추워 농가에서는 예년에 비해 정식(온상에서 기른 모종을 밭에 제대로 심는 일) 시기를 늦췄고, 그만큼 수확 일정이 지연됐다.
호박(24.2%), 오이(13.3%)도 지난주보다 도매가격이 올랐다. 식자재 유통업체 한 관계자는 “호박과 오이는 비닐하우스에서 재배가 가능한 작물이지만, 일부 농가에서는 가스비와 전기료 상승을 이유로 작물 재배를 잠시 중단했다”고 했다.
KAPI는 지난 17일부터 1주일째 190 이상을 기록했다. 23일에는 198.62를 찍었다. 지난 10년간의 2월 KAPI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입춘 이후 날이 따뜻해졌음에도 농산물 도매 가격은 치솟고 있다. 겨우내 계속된 한파의 영향이 2월 말까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조량 부족으로 작물이 얼어 죽는가 하면 일부 농가는 가스비와 전기료를 감당하지 못해 하우스 작물 재배를 일시 중단하기도 했다.가격 상승세가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풋고추다. 24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국내산 풋고추 도매가격은 ㎏당 1만6234원으로 지난달보다 156.0%, 1년 전보다 194.1%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풋고추의 2월 평균 도매 가격은 ㎏당 6139원 선이었다.풋고추 주산지인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 한파가 들이닥치며 생산량이 급감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지역 일대의 풋고추는 1월 내내 햇빛을 쬐지 못해 제때 꽃을 피우지 못했고 착과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2월 풋고추 거래량은 평년 4038t에서 올해 2518t으로 급감했다.한 대형마트 채소 담당 바이어는 “풋고추는 일반적으로 자가 수정을 하지만 그렇지 못한 꽃은 벌을 이용해 수정한다”며 “한파의 영향으로 벌 활동이 줄어든 것도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토마토도 추운 기온의 영향을 그대로 받았다. 토마토와 방울토마토의 ㎏당 도매 가격은 지난주보다 각각 20.6%, 38.4% 상승했다. 날이 추워 농가에서는 예년에 비해 정식(온상에서 기른 모종을 밭에 제대로 심는 일) 시기를 늦췄고 그만큼 수확 일정이 지연됐기 때문이다.호박(24.2%), 오이(13.3%)도 지난주보다 도매 가격이 상승했다. 한 식자재 유통업체 관계자는 “호박이나 오이는 비닐하우스에서 재배가 가능한 작물들이지만 일부 농가에서는 가스비와 전기료 상승을 이유로 작물 재배를 잠시 중단하기도 했다”고 전했다.KAPI는 2월 17일부터 일주일 째 19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23일에는 199.64를 찍었다. 지난 10년간의 2월 KAPI 중 가장 높은 수치다.한경제 기자
풋고추 월평균 도매가격이 1만원을 넘어섰다. 주산지에서 흐린 날씨가 장기화함에 따라 작황이 부진해져 출하량이 줄었기 때문이다.17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국내산 풋고추 도매가격은 ㎏당 1만3201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9.2% 폭등했다. 전주보다는 16.7%, 전월 대비로는 108.2% 비싼 금액이다.풋고추의 이달(1~16일) 평균 도매가격은 ㎏당 1만869원이다. 테란이 작물별 평균 도매가격을 집계한 2013년 1월 이후 풋고추 월평균 가격이 1만원을 넘어선 건 이번 달이 처음이다.소매 가격 역시 지난해 이맘때보다 비싸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16일 풋고추 100g 소매가격은 2562원으로 지난해 같은 날(1702원)보다 50.5% 상승했다.풋고추 가격이 급격히 오른 건 주산지인 경남 진주, 밀양 등에서 최근 2주간 흐린 날씨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풋고추는 착과에 앞서 꽃이 펴야 하는데, 꽃잎이 떨어져 열매를 맺지 못한 줄기가 많았다.다음달엔 풋고추 가격이 하락세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한 대형마트 신선식품 바이어는 “새로운 줄기에서 꽃이 피고 열매를 맺은 뒤 고추를 수확하기까지 30~40일 정도 기간이 소요된다”며 “평년 수준을 되찾으려면 수개월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
한파가 잦아들고 기온이 오르면서 대부분 농작물 시세가 지난주보다 하락했다. 이런 와중에 양파 가격은 심상치 않은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도매시장에서 작년 이맘때와 비교해 200% 비싼 가격에 거래됐다. 겨울 한파로 생육기에 피해를 본 고추류 또한 가격이 내려가지 않고 있다.10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국내산 양파 도매가격은 ㎏당 1236원으로 1년 전보다 206.8%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년(970원)보다 27.4% 비싼 가격이다.양파 가격을 밀어 올린 핵심 요인은 이상기후다. 양파는 4~5월에 길러 6월에 수확한 뒤 이듬해 3월까지 저장물량이 유통되는 품목이다. 생육기에 수분을 충분히 머금어야 커진다.하지만 작년 봄 한반도에 역대급 가뭄이 찾아오면서 작황이 부진했다. 수확량은 평년의 80%에 불과했다. 한 식자재 유통업체 바이어는 “시장에 풀린 물량이 적은 데다 지난해 수확한 저장양파를 소진해 질 좋은 양파를 찾기가 힘들다”고 설명했다.오는 4월 제주에서 햇양파가 출하되더라도 시세가 안정되기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제주 양파는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이 지역 폭설과 한파로 냉해를 입었기 때문이다.겨울철에 경남 밀양, 전남 나주 등 한반도 남부에서 주로 출하하는 풋고추 또한 강추위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풋고추는 지난주보다 31.7% 오른 ㎏당 1만644원에 거래됐다.작년과 비교하면 92.8% 뛰었다. 한 대형마트 바이어는 “설 연휴 직후 한파로 일조량이 부족해져 풋고추가 열매를 맺는 시점이 평소보다 늦어졌다”며 “본격적인 수확철을 앞두고 있어 시세는 안정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